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조선218

대원군의 쇄국정책 개항 전후 외세의 침략을 막으려고 한 조선의 대응 모습은 대원군이 펼친 쇄국정책에서 잘 나타나 있습니다. 대원군의 쇄국정책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문호개방은 중국이나 일본에 비하여 훨씬 늦게 일어나게 되는데요 1876년에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면서 조선은 개항을 하게 됩니다 2018. 5. 31.
농사직설 농사직설은 경험이 많은 나이 많은 농부들의 의견을 참조하여 세종때에 편찬된 농업 서적입니다 《농사직설》(農事直說)은 농사의 개설을 해설하여 놓은 농서(農書) 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책이다. 조선 전기의 대표적 농서로 영농 지침서 역할을 하였다. 조선 세종이 정초(鄭招) 등에게 명하여 1429년(세종 11년)에 편찬했다. 종래에는 중국의 농서에만 의존해 왔으나 세종은 풍토에 따른 농법의 차이를 고려하여 각 도 농부들의 경험을 토대로 우리나라 기후 풍토와 조선의 실정에 알맞은 농법을 저술하게 되었다. 내용을 보면, 먼저 일반론으로서 종자와 토양을 다루는 법을 설명하고, 각론(各論)으로 각종 작물의 재배법을 간결하게 서술하고 있다. 이 책에서 당시 남부 지방 일부에서 행해지고 있는 이앙법을 처음 소개하였다... 2018. 5. 30.
삼강행실도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는 조선 세종 16년(1434) 직제학 설순(偰循) 등이 세종의 명에 따라서 조선과 중국의 서적에서 군신·부자·부부의 삼강에 거울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의 행실을 모아 그림과 함께 만든 책으로 3권 3책의 목판 인쇄본이다. 세종 10년(1428) 무렵, 진주에 사는 김화(金禾)의 아버지 살해 사건이 일어났다. 유교사회를 지향하는 조선으로서는 중대한 일이 아닐 수 없었으며 지배층, 특히 세종이 받은 충격은 컸다. 윤리 도덕을 어긴 강상죄(綱常罪)로 엄벌하자는 주장이 일어났지만 세종은 엄벌이 능사가 아니고 아름다운 효풍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서적을 만들어서 백성들에게 항상 늘 가까이 읽게 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으로 이를 간행하기에 이르렀다. 말하자면 아들의 아버지 살해사건이 󰡔.. 2018. 5. 30.
세종대왕 세종대왕은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확실하게 확립하기 위하여 문화 융성에 힘썼다고 하겠는데요 우리식의 달력과 우리식의 농업서적인 농사직설을 펴내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글인 훈민정음을 창제한 것은 문화융성의 핵심이라고 볼수가 있겠습니다 훈민정음 창제 칠 정 산 편찬 농사직설 편찬 2018.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