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직설은 경험이 많은 나이 많은 농부들의
의견을 참조하여 세종때에 편찬된 농업 서적입니다
《농사직설》(農事直說)은 농사의 개설을 해설하여 놓은 농서(農書) 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책이다.
조선 전기의 대표적 농서로 영농 지침서 역할을 하였다.
조선 세종이 정초(鄭招) 등에게 명하여 1429년(세종 11년)에 편찬했다.
종래에는 중국의 농서에만 의존해 왔으나 세종은 풍토에 따른 농법의 차이를 고려하여 각 도 농부들의 경험을 토대로 우리나라 기후 풍토와 조선의 실정에 알맞은 농법을 저술하게 되었다.
내용을 보면, 먼저 일반론으로서 종자와 토양을 다루는 법을 설명하고, 각론(各論)으로 각종 작물의 재배법을 간결하게 서술하고 있다.
이 책에서 당시 남부 지방 일부에서 행해지고 있는 이앙법을 처음 소개하였다.
이 책은 내용이 중요 곡식류에 국한되고 또 자세하지 못한 흠은 있다(농업과 농촌에 필요한 것을 망라한 농촌 생활 백과사전은 아니었다)
농서의 효시로서, 또 한국식의 농법을 편 자주적 저서로서 농업 기술의 변천을 살피는 데 좋은 자료이다
농 사 직 설 서 문
“농사는 천하의 대본(大本)이다. 예로부터 성왕(聖王)이 이를 힘쓰지 아니한 사람이 없었다. 순제(舜帝)가 9관(官)1)과 12목(牧)에게 명하실 적에 가장 먼저 ‘먹는 것은 (농사를 짓는) 시기에 달렸다’라고 하였으니, 진실로 자성(粢盛)을 바치는 일과 (곡식을) 기르는 비용도 이것을 떠나서는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삼가 생각하건대 태종 공정대왕(恭靖大王)께서 일찍이 유신(儒臣)에게 명하시어 옛날 농서(農書)로서 절실히 쓰이는 말들을 뽑아서 향언(鄕言)으로 주(註)를 붙여 판각(板刻)해 반포토록 하여, 백성을 가르쳐서 농사를 힘쓰게 하셨다.
우리 주상전하께서는 명석한 임금을 계승하여 정사에 힘을 써
더욱 민사(民事)에 마음을 두셨다.
오방(五方)의 풍토가 같지 않아 곡식을 심고 가꾸는 법이 각기 적성(適性)이 있어, 옛 글과 다 같을 수 없다 하여, 여러 도의 감사에게 명하여 주현의 노농(老農)들을 방문토록 하여, 농토의 이미 시험한 증험에 따라 갖추어 아뢰게 하시고, 또 신(臣) 정초에게 순서에 따라 얽게 하시고 종부소윤(宗簿少尹) 변효문(卞孝文)과 더불어 교열하고 참고하여 그 중복된 것을 버리고 그 절실하고 중요한 것만 뽑아서 찬집하여 한 편(編)을 만들게 하고 제목을 『농사직설』이라고 하였다.
농사 외에는 다른 설(說)은 섞지 아니하고 간략하고 바른 것에 힘을 써서, 산야(山野)의 백성도 환히 쉽사리 알도록 하였다. 이미 위에 바쳐 주자소(鑄字所)에 내려서 약간 본(本)을 인쇄하여 장차 중외(中外)에 반포하여 백성을 인도하여 살림을 넉넉하게 해서, 집집마다 넉넉하고 사람마다 풍족하게 되도록 할 것이다.
신이 『주시(周詩)』1)를 보건대,
주나라[周家]에서도 농사로써 나라를 다스려 800여 년의 오랜 세월에 이르렀는데, 지금 우리 전하께서도
이 나라 백성을 잘 기르고 나라를 위하여 길이 염려하시니,
어찌 후직(后稷), 성왕(成王)과 더불어 규범(揆範)을 같이하지 않으랴.
이 책이 비록 작더라도 그 이익이 됨은 이루 말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