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우리 역사/조선218 조선의 과거 조선시대에는 관리를 뽑기 위해 과거 제도를 시행했다. 조선은 성리학을 이념으로 하여, 고려말의 소수의 혁명파 신진사대부들에 의해 건국되었다. 이들은 자신의 이상대로 모든 관리를 과거를 거쳐 선발하고자 하였다. 관리로 등용되어야만 출세할 수 있었던 당시에는 관리의 임용제도로서의 과거가 크게 주목되었다. 이 후 조광조의 주장에 의한 천거제인 현량과가 도입되었던 짧은 시기를 제외하면 조선 왕조 전 기간에 걸쳐 정기적으로 과거가 실시되었다. 과거도 고려의 제도를 따라, 문과·무과·잡과로 크게 구분하였지만, 문(文)을 숭상하는 경향은 여전하여 보통 과거라 하면 문과를 지적할 정도로 그 비중이 컸다. 따라서 천인(賤人)은 물론, 같은 양반이라도 서얼 출신은 응시할 수 없도록 하였으며, 신분상으로는 일반 서민인 양인.. 2016. 9. 22. 정조 정조는 즉위 초부터 외척 제거와 준론 탕평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려고 노력했다. 이 밖에도 정조는 여러 가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개혁 정책을 통해 왕권 강화를 추구했다. 우선 정조는 즉위하자마자 규장각(奎章閣) 설치를 준비했다. 왕권 강화를 위한 정치 기반을 확보하는 첫 단추였다. 규장각은 역대 왕들의 어제와 어필 등을 정리, 보관하고 서적을 수집하거나 편찬하는 왕실 도서관으로 출발했다. 그러나 규장각은 단순히 왕실 도서관의 역할만 하는 것은 아니었다. 정조는 규장각이 측근 세력을 결집시키는 구심점이 되길 바랐다. 1781년(정조 5)에 그 기능이 재정비된 규장각은 정조의 복안대로 승정원이나 홍문관을 대신해 국왕의 통치를 보좌하는 기관으로 거듭났다. 규장각이 정조의 친위 세력을 양성하기 위한 기관이라면 1.. 2016. 9. 17. 서거정의 역작 조선시대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가 강조될 시기에 우리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발간된 책이 있는데 바로 동문선이다. 동문선은 서거정이 편찬을 하였다. 서거정은 동문선에서 우리나라의 시문이 삼국 시대에 시작되어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 가장 발달하였다고 보고, 우리 시문이 중국의 것과는 다른 것을 강조하였다. 동문선에서 서거정은 우리의 글을 집대성하여 후세에 길이 전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동문선에는 우리나라의 작품 4302편이 수록되어있다. 서거정은 동문선에서 우리나라글의 독창성을 강조하였다. 동문선에는 약 500명의 작가의 글이 수록되어있다. **** 우리 시문은 중국의 것과는 다르다**** 2016. 9. 16. 삼정의 문란 세도 정치기 관리들의 부정부패가 극심해지면서 삼정이 문란해졌다. 삼정은 국가 재정의 기본을 이루고 있었던 전세, 군포, 환곡을 거두어 들이는일을 말한다. 수령들은 정해진 금액 이상의 전세를 거두었다. 전세를 거둘 때 운송비와 손실비 등을 포함한 각종 부가세를 징수하였으며, 여기에 군포나 환곡에서 걷지 못한 몫까지 토지에 부과하였다. 그 결과 전세는 실제 부담해야할 액수보다 몇 배로 늘어났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부담을 가난한 농민에게 전가하는 것이었다. 원래 전세는 토지 소유자가 내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실제 부담은 힘없는 소작인에게 넘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군포의 경우도 가난한 백성일수록 부담이 더 컸다. 신분제의 동요로 군역이 면제되는 양반 수가 늘어나고 상민의 수가 줄어들자, 정부는 부족해진 군포.. 2016. 9. 8.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5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