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고려140

재조대장경 http://partner.lovewar.co.kr/login 대장경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당연히 1238년에 완성된 우리나라의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이다. 이 대장경은 재조대장경이라고도 불린다. 이전에 있던 대장경이 몽골 침입 때 불에 타 소실되자 이를 다시 만들었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이처럼 고려대장경에 앞서 있었던 대장경을 초조(初雕)대장경이라고 하는데, 1089년 오늘 완성됐다. 2016. 2. 12.
씨름의 어원 씨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정설은 없다. 민속학자 최상수의 견해 영남지방에서 쓰는 우리말 가운데 서로 버티고 힘을 겨루는 것을 “씨룬다”고 하며, 또 서로 버티고 힘을 겨루어보라는 말을 “서로 씨루어보아라.”고 하고, 꽤 오래 버틴다는 말을 “대기(되게) 씨룬다.” 또는 “대기 씨루네.”라고 한다. 이것으로 보아 씨름이라는 말은 타동사 ‘씨룬다’라는 말이 명사화하여 ‘씨룸’이 되고, 다시 ‘씨름’이 된 것으로 보았다. 두 사람이 손을 맞잡고 버티어 힘을 겨룰 때 이것을 ‘팔씨름’이라고 말하며, 또 서로 말로써 지지 않으려고 버티는 것을 ‘입씨름’이라고 하는 것을 보아서도 이를 예증할 수 있다고 하였다. 국어학자 서정범의 견해 몽고어에서는 씨름을 ‘bu"he’라고 하는데, 이 말은 우리말의 ‘발[.. 2016. 2. 9.
고려 중엽 2016. 2. 8.
고려 중기 상황 고려와 몽골의 관계는 우호적으로 출발하였다 . 그런데 몽골 사신이 귀국길에 피살된 사건을 구실로 1231년 몽골이 고려를 침략하였다. 개경 중심의 문벌 귀족 지배 체제가 강화되면서 문벌 귀족은 더욱 보수화되었고 사치와 향락을 일삼았다. 차별 대우를 받아 온 무신들과 각종 잡일에 동원되어 왔던 군인들의 불만도 커져 갔다. 마침내 1170년(의종 24) 이의방, 정중부 등 무신들이 군인들의 지지를 받아 문신 들을 제거하고 새로운 왕을 세웠다. 무신들이 집권 후에 보인 모습은 문벌 귀족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무신들은 중방을 통해 권력을 행사하면서 관직을 독점하고,재산을 축적하였다. 무신 정권 초기에는 권력 다툼으로 집권자가 자주 교체되었다. 30여 년 동안 계속된 권력 다툼은 최충헌이 집권하면서 멈추었다. .. 2016.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