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고려

씨름의 어원

by 산골지기 2016. 2. 9.
728x90

씨름의 어원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한 정설은 없다.

 

 

 

 민속학자 최상수의 견해

영남지방에서 쓰는 우리말 가운데 서로 버티고 힘을 겨루는 것을 “씨룬다”고 하며, 또 서로 버티고 힘을 겨루어보라는 말을 “서로 씨루어보아라.”고 하고, 꽤 오래 버틴다는 말을 “대기(되게) 씨룬다.” 또는 “대기 씨루네.”라고 한다.

 

이것으로 보아 씨름이라는 말은 타동사 ‘씨룬다’라는 말이 명사화하여 ‘씨룸’이 되고, 다시 ‘씨름’이 된 것으로 보았다.

 

 

 

 

두 사람이 손을 맞잡고 버티어 힘을 겨룰 때 이것을 ‘팔씨름’이라고 말하며,

 

또 서로 말로써 지지 않으려고 버티는 것을 ‘입씨름’이라고 하는 것을 보아서도 이를 예증할 수 있다고 하였다.

 

 국어학자 서정범의 견해

 

몽고어에서는 씨름을 ‘bu"he’라고 하는데, 이 말은 우리말의 ‘발[]’과 비교되는 말이다.

몽고어에서 다리[]의 뜻으로 ‘silbi’, ‘saba`r’ 등이 있는데, 어근은 실(sil)로 우리말 씨름의 어근 ‘실’과 비교되므로 씨름을 ‘다리의 경기’로 보았다.

 


 

속설에는 ‘씨름’을 ‘씨[]의 겨룸’으로 보아 남자들끼리의 힘겨룸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 이도 있다

반응형

'우리 역사 > 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 통신 기술  (0) 2016.03.18
재조대장경  (0) 2016.02.12
고려 중엽  (0) 2016.02.08
고려 중기 상황  (0) 2016.01.09
고려의 신분  (0) 2016.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