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고려140

고려의 반란 묘청의 난 묘청 세력 서경(평양) 사상--- 풍수지리설 대외 정책 금 정벌 현상 유지 주장 칭제 건원, 서경 천도 묘청의 난: 서경 천도 주장에 대한 개경 문벌 귀족들의 반대 → 서경에서 봉기(국호 - 대위국, 연호 - 천개) → 김부식에 의해 진압 무신 정변의 발생 (1) 배경: 무신에 대한 차별 대우, 의종의 실정(사치와 향락, 무신 무시 심화), 하층 군인의 불만(낮은 대우) (2) 무신 정변: 정중부 , 이의방 등이 의종과 문신들의 보현원 행차 때 정변 주도 → 문신들을 죽이고, 명종을 세움. 무신들의 권력 투쟁 (1) 무신 정권 초기: 초기 집권자의 잦은 교체, 중방 중심 통치 (군사, 형벌, 관리의 인사 문제 처리) (2) 무신 정권 시기 집권자의 변화: 이의방 → 정중부 → 경대승 → 이의민.. 2015. 10. 2.
고려 내용 정리 불교의 결사 운동 (1) 지눌 의 수선사 결사 운동: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 포용, ‘정 혜쌍수’와 ‘돈오점수’를 수행 방법으로 제시 (2) 혜심의 유불일치설: 유교와 불교는 근본에 있어서 하나임. (3) 요세의 백련사 결사 운동: 진정으로 잘못을 뉘우치고 불경 을 외우면 극락왕생할 수 있다고 주장 도교와 풍수지리설 (1) 도교: 왕실의 번영과 불로장생 추구, 초례 거행 (2) 풍수지리설 : 서경 천도와 북진 정책 합리화, 남경 길지설 유학의 발달과 역사책의 편찬 1. 유학의 발달 (1) 성종 때 유교가 정치 이념으로 정착 (2) 유교 발달 ① 최충의 9재 학당(문헌공도)을 비롯한 사학 12도 설립 ② 국왕의 주재 아래 유교 경전에 대한 강론 개최 (3) 무신 집권기: 유학 침체 2. 성리학의 도입 (1).. 2015. 10. 2.
원의 고려 지배 고려를 항복시킨 쿠빌라이 칸은 바닷길마저 장악하고자 일본과 베트남, 자와에까지 원정군을 파견하였다. 특히, 일본에는 조공을 요구하였다가 거절당하자 3만여 명의 몽골 고려 연합군을 파견하였다. 하지만 일본군의 강력한 저항과 태풍으로 일본 정복은 실패하였다. 남송을 정복한 직후에도 남송의 군대를 포함한 14만 명의 연합군이 다시 일본을 공격하였지만, 태풍으로 말미암아 또다시 실패하고 말았다. 몽골군의 세 차례에 걸친 대월 침략도 쩐흥다오의 활약으로 저지되었다. 전쟁 후 쩐왕조는 더 이상의 전쟁을 피하고자 몽골 제국에 조공 사신을 보내고 포로를 송환하였다. 쯔놈문자는 베트남어를 적기 위해 한자에 바탕을 두고 만든 문자이다. 14세기 이전에 베트남에서 사용되던 문자는 한자로, 한문 소양을 갖춘 상류층은 한문만을.. 2015. 9. 25.
고려의 자주외교 거란은 993년에 1차 침입을 한 이후에 1010년에는 2차 침입을 단행하였다. 2차 침입당시에는 개경이 함락되었으며 불교의 힘으로 침입을 막기위해 초조대장경을 조판하였다. 이후 1018년에는 3차 침입을 당행했는데 강감찬이 귀주에서 거란군을 대파하였다. 이후 고려가 송과 비공식적인 교류를 계속하자, 거란은 두 차례 더 고려를 침공하였다. 그러나 고려는 양규, 강감찬 등의 활약으로 이를 물리쳤다. 이후 고려, 송, 요 사이에는 세력 균형이 이루어졌으며, 고려는 요와 조공 관계를 맺고 서로 교역하며 평화적인 관계를 유지하였다. 금 남송과는 실리 외교를 하였는데 12세기에 들어 여진이 성장하면서 고려를 위협하자 윤관은 별무반을 조직하여 여진 정벌에 나섰다. 그는 여진족을 물리친 후 동북 지역에 9성을 쌓았다.. 2015.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