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우리 역사/근현대사180 새로운 문물 통신과 교통이 발달하면서 먼 지역의 소식도 신문·잡지 등을 통해빠르게 접할 수 있게 되었는데 최초의 한글신문은 독립신문이다. 1884년의 갑신정변 때 중단되었던 우편 업무도 1895년의 을미개혁으로 다시 시작되었다. 한편, 한성과 개항장을 중심으로 서양식 병원이 세워지면서 서양 의술이 보급되고 위생 관념도 점차 높아졌다. 새로운 문물이 수용되면서 의식주 생활과 문화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관리와 군인이 서양식 옷을 입기 시작하고 양복을 입는 일반인도 점차 늘어났다. 양복의 영향을 받아 한복도 간편하게 바뀌어갔다. 또한, 여성은 거리에 나갈 때 얼굴을 가렸던 장옷을 벗었으며 양장을 하기도 하였다. 단발령으로 머리 모양도 바뀌고 이발사라는 새로운 직업도 생겨났다. 이 시기 다양한 외국의 음식도 유행하였다.. 2015. 10. 3. 단발령 삼국 간섭 이후 조선 정부가 러시아에 접근하자 위기감을 느낀 일본은 공사 이노우에 가오루를 소환하고 대신 군인 출신의 미우라 고로를 그 자리에 임명한다. 미우라는 친러파의 중심 인물로 명성 황후를 지목하고 일본 수비대와 낭인들을 동원하여 경복궁에 난입하였다. 낭인들은 옥호루에서 명성 황후를 시해한 뒤 석유를 뿌려 시신마저 불태웠다고 전해진다. 일본은 이를 흥선 대원군과 해산설에 불만을 품은 훈련대의 짓으로 몰아가려 했다. 그러나 당시 궁내에 머물렀던 러시아 전기 기사 사바친(Sabatin, G)과 미국인 시위대 교관 다이(Dye, W. M.)에 의해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일본은 미우라 고로 이하 사건에 가담한 48명을 일본으로 소환하였다. 그러나 이어 벌어진 재판에서 이들은 전원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2015. 10. 2. 헤이그 특사와 백두산 정계비 헤이그 특사는 만국 평화 회의에 참가하지 못하였다. 특사들은 우방으로 믿었던 러시아와 미국, 그리고 주최국인 네덜란드에게 도움을 청하였으나 모두 거절당하였다. 비공식 경로를 통해 일제의 침략상과 한국의 입장을 담은 공고사를 의장과 각국 대표들에게 보내고 그 전문을 ‘평화회의보’에 발표하였다. 또한, 영국 언론인 스테드의 주선으로 언론인들 앞에서 연설할 기회를 얻어 ‘한국을 위해 호소한다(A Plea for Korea) ’는 제목의 연설로 주목을 끌었고 이 내용이 세계 언론에 보도되었다. 그러나 외교적으로 구체적인 성과를 얻는 데는 실패하였다. 이 사건이 전해지자 이토 히로부미는 고종에게 헤이그 특사에 대한 책임을 추궁하고 강제 퇴위를 결정하였다. 이어 순종이 즉위하면서 한ㆍ일 신협약이 체결되었다. 헤이그.. 2015. 10. 2. 한일합방 일본의 역사 교과서에서는 한일합방에 대하여 기술하면서 "한국의 병합은 일본의 안전과 만주의 권익을 위해서 이루어졌다"고 주장을 하고 있다. "일러전쟁 후 일본은 한일협약에 의해 한국에 한국 통감부를 두고 지배를 강화해 갔다. 구미 열강은 영국의 인도, 미국의 필리핀, 러시아의 외몽고 등 자국의 식민지와 세력권의 지배를 일본이 인정하는 대가로 일본이 한국을 영향하에 두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한일합방에 대해서 기술한 일본 지유샤 교과서의 내용) 하지만 러시아가 외몽고의 영유권을 차지한 대가로 일본의 한반도 지배를 인정하였다는 사실에는 많은 모순이 있다. 러시아가 일본의 한반도 지배를 인정하였다면 러-일 전쟁이 일어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일본은 러시아와 한반도를 둘러싼 마지막 혈투를 벌였는.. 2015. 10. 2.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4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