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우리 역사/근현대사180 어랑촌전투 어랑촌전투는, 1920년 10월 22일 아침부터 이 마을을 중심으로 종일토록 계속되었다. 이날 어랑촌전투에는 우리 독립군과 일본군 양측 모두 최대의 전력을 투입하였다. 독립군 측은 백운평·천수평 전투에서 잇달아 승리를 거둔 대한군정서 600여 명과 완루구전투에서 승전한 뒤 이곳으로 이동해 온 홍범도 휘하의 독립군 연합부대 1500여 명이 총동원되었다. 이 전투에 참여한 일본군은 동지대(東支隊) 소속의 보병·기병·포병 등 주력 5000여 명이 참전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일본군은 독립군에 견주어 병력과 화력 면에서 월등히 우세했다. 그럼에도 투철한 항일 의지로 무장한 우리 독립군은, 유리한 지형과 게릴라 전술로 일본군 300여 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 이것은 우리 독립군이 상대를 얕잡아 보며 돌격해.. 2014. 12. 25. 고종장례일에 일어난 3-1 민족운동 고종의 장례일에 일어난 대표적인 민족운동으로 3.1운동을 들수 있다. 1910년 한일합방을 한후 일본은 무단통치로 조선을 통치하였는데 3.1운동을 계기로 통치의 스타일을 문화통치로 바꾸게 된다. 3.1운동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일제의 가혹한 무단 통치 때문이라고 할 수가 있다. 일제는 헌병경찰을 앞세워 조선을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는데 이러한 통치에 대한 불만이 3.1운동을 통해 폭발을한 것이다. 이외에 3.1운동에 영향을 준 것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이다. 3.1운동이 일어나지 조금전에 일본에서는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2.8독립선언을 하였다. 3.1운동은 가장 먼저 서울에서 독립 선언을 하였는데 종교계의 대표와 학생층이 주도가 되어 독립선언을 하면서 기본 원칙은 비폭력주의를 표방하였다. 3.1운동은 이후 전국.. 2014. 7. 10. 한일합방을 둘러싼 한일 역사분쟁 일본의 역사 교과서에서는 한일 합방에 대하여 기술 하면서 '한국의 병합은 일본과 안전과 만주의 권익을 위해서 이루어졌다'고 주장을 하고 있다. 한일합방에 대해서 기술한 일본 지유샤 교과서의 내용 하지만 러시아가 외몽고의 영유권을 차지한 댓가로 일본의 한반도 지배를 인정하였다는 사실에는 많은 모순이 있다. 러시아가 일본의 한반도 지배를 인정하였다면 러-일 전쟁이 일어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일본은 러시아와 한반도를 둘러싼 마지막 혈투를 벌였는데.. 2013. 7. 6. 근대로의 여행 대구 골목투어는 대구시 중구청에서 지역 테마 행사로 하는 관광 프로그램이다. 화창하고 더운 주말 대구 골목투어를 해보았는데 처음 코스는 기독교 선교사들의 집이었다. 당시로서는 화려한 주택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박물관으로 사용이 되고 있다. ●인근에 선교사들의 묘역도 있었고 이어서 3.1운동 기념관이 있으며 정식 코스가 아니면서 그냥 지나치는 서양식 석조 건물이 있는데 제일교회의 별관이라고 했다. 이어서 아래로 코스를 돌려서 영남지역 최초의 고딕건축물인 계산성당으로 향했다. 전통으로 봐서는 우리나라 3대 성당에 들수 있는 곳이라고 한다. 하지만 영남지역 최초의 고딕건축물을 보면서 안내자의 설명을 듣지만 정작 눈길을 끄는 것은 위쪽에 우뚝솟아 있는 거대한 고딕 건축물이었다. 대구 제일교회의 건물인데 다른교회와.. 2013. 7. 5. 이전 1 ··· 42 43 44 4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