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조선218 시헌력의 도입 시헌력은 청나라 초기에 베이징에서 활동한 예수회 선교사 아담 샬이 만든 달력입니다. 서양식 역법인 시헌력은 이후 김육에 의하여 우리나라에 도입이 되게 됩니다. 시헌력 청나라 초기에 베이징에서 활동한 예수회 선교사 아담 샬이 만든 달력 청나라에서 활약하던 예수회 선교사인 아담 샬은 청에 억류되었던 소현 세자와 가깝게 지냈습니다. 서양식 역법인 시헌력 김육에 의하여 우리나라에 도입 때문에 소현 세자가 청나라에서 조선으로 귀국할 때 서양의 과학기구와 서학 서적들을 많이 가지고 왔습니다. 인조 때 김육은 시헌력을 도입하자고 주장하였는데요 김육의 주장은 인조때에는 실현되지 않았지만 이후 효종 때 시헌력 시행을 결정하게 됩니다. 시헌력 인조 때 김육은 시헌력을 도입하자고 주장 효종 때 시헌력 시행을 결정 조선 정부.. 2021. 6. 29.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지리서와 음악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지리서로는 조선전기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후기에 이중환에 의하여 편찬된 택리지가 있습니다. 이중환이 지은 택리지는 사민총론(四民總論)과 팔도총론(八道總論: 평안도·함경도·황해도·강원도·경상도·전라도·충청도·경기도)을 비롯하여 ·복거총론(卜居總論: 地理·生利·人心·山水)·총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택리지의 구성 사민총론(四民總論) 팔도총론(八道總論: 평안도·함경도·황해도·강원도·경상도·전라도·충청도·경기도) 복거총론(卜居總論: 地理·生利·人心·山水) 총론 direct-carbohum.kr/S026/namjindu1[자동차 보험]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지리서 조선 전기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 조선 후기 이중환에 의하여 편찬.. 2020. 12. 3. 조선후기의 시조인 사설시조 조선후기에는 형식에서 탈피한 산문적 가사 형태의 시조인 사설시조가 유행을 하게 됩니다. 사설시조는 3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종장은 비교적 평시조의 율격과 비슷하지만 전반부인 초장과 중장은 형식에서 벗어나 긴 형태의 산문적 형태를 보이는 시조 입니다. http://appu.kr/?i=12270295 개인회생/파산/면책 개인회생/파산/면책 전문 상담원이 친절하고 자세하게 상담해드립니다. www.adlix.co.kr 조선 시대 사설시조의 첫 작품은 선조 때 정철이 지은 ‘장진주사'입니다. 조선 후기에 본격적으로 발달한 사설시조는 서민들 사이에서 크게 성행을 하였습니다. 격식와 형식을 중요시한 평시조와 달리 형식에서 탈피한 사설시조는 일상적인 소재를 서민의 관점에서 솔직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입니다. http:.. 2020. 12. 2. 조선의 근대화 조선이 근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펼쳐졌던 대표적인 개혁으로는 1894년의 갑오개혁과 1895년의 을미개혁 그리고 고종이 대한제국이 선포한 이후 점진적으로 취한 개혁인 광무개혁이 있습니다. 1894년에 있은 최초의 근대적인 개혁인 갑오개혁은 http://appu.kr/?i=12272581 사랑을부르는 아프리모향수 내 몸에서 나는향기처럼, 체향과 잘어울리는 살냄새향수! 아프리모 남자향수, 여자향수 www.afrimo.net 김홍집 내각과 박영효 내각을 중심으로 각각 진행이 되었습니다. 이듬해인 1895년에 있은 을미개혁은 갑오개혁의 연장으로 보기도 합니다. 고종이 대한제국이 선포한 이후 취한 개혁인 광무개혁은 http://appu.kr/?i=12272434 나인스쿨 나인스쿨 전문 상담원이 친절하고 자세하.. 2020. 11. 24. 이전 1 ··· 4 5 6 7 8 9 10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