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우리 역사/조선218 우리실정에 맞는 역법과 농서 세종은 왕립 천문기상대 역할을 하던 서운관의 이름을 관상감으로 바꾸었습니다. 이와 함께 세종은 경복궁 경회루 북쪽에 간의대를 세워 천체를 관측 하도록 하였습니다. 천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달력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일식 날에는 임금도 나와 천체 관측을 하였는데요 일식 시간이 잘못 계산되었을 경우에는 관측관리가 유배되기도 했습니다. 세종 시절에 우리나라는 중국에 비해 15분 늦게 시작되었는데요 이로 인해 세종은 역법도 중국과는 달라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달력인 칠정산을 만든 것입니다. 세종은 즉위한 후 지금까지 사용해 온 중국의 모든 천문학 이론을 정리하고 개선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역법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칠정산의 내편 원나라의 수시력과 명나라의 대통력(大統曆)을.. 2023. 6. 8. 조선시대의 달력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달력으로 칠정산과 시헌력이 있습니다. 칠정산 조선 세종 때에 이순지, 김담 등이 왕명에 따라 펴낸 역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만든 역서 내편과 외편으로 구성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달력인 칠정산은 조선 세종 때에 이순지, 김담 등이 왕명에 따라 펴낸 역서입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달력 칠정산은 . 내편과 외편으로 되어 있는데, 중국 원나라의 역법과 명나라의 역법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꾸민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꾸민 것이기 때문에 큰 의미를 가지는 역서가 바로 칠정산 입니다. 세종은 고려 시대부터 왕립 천문기상대 역할을 하던 서운관의 이름을 관상감으로 바꾸고 경복궁 경회루 북쪽에 간의대를 세워 별자리를 비롯하여 일출과 일몰, 일식과 월식, 혜성과 행성의 운행을 .. 2023. 6. 8. 조선시대 편찬된 서적 ● 조선시대의 윤리서인 행실도 성리학을 통치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시대에는 유교 윤리 보급을 위해서 ‘행실도’를 편찬 하였습니다. 충신, 효자, 열녀 등 좋은 행실을 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수록한 행실도는 매 이야기마다 그림을 넣었기 때문에 평민들도 잘 이해를 할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행실도는 책으로 편찬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림이나 병풍으로 제작되기도 했습니다. 삼강행실도 이야기마다 그림을 첨가하여 설명--- 평민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 세종 대에 간행한 삼강행실도에서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충신, 효자, 열녀들이 소개가 되고 있습니다. 성종 대에는 삼강행실도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삼강행실도 언해본이 간행되기도 했습니다. 언해본 삼강행실도는 한글 창제 이후 110명씩을 35명씩으.. 2023. 5. 25. 조선시대의 윤리서와 역사서 ● 조선시대의 윤리서인 행실도 성리학을 통치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시대에는 유교 윤리 보급을 위해서 ‘행실도’를 편찬 하였습니다. 충신, 효자, 열녀 등 좋은 행실을 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수록한 행실도는 매 이야기마다 그림을 넣었기 때문에 평민들도 잘 이해를 할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행실도는 책으로 편찬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림이나 병풍으로 제작되기도 했습니다. -------------------------------------------------------------------------------------------------------------------------------------- 삼강행실도 이야기마다 그림을 첨가하여 설명--- 평민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 세종 대에.. 2023. 5. 22. 이전 1 2 3 4 5 6 7 8 ··· 5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