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조선218 경기체가 경기체가는 고려말에 성행한 시가입니다. 13세기 초에 나온 한림별곡(翰林別曲)은 최초의 경기체가 작품인데요 최초의 경기체가 작품인 한림별곡의 저자는 한림제유 입니다 이 작품이 나온 후 조선 중기까지 20편이 넘는 작품들이 나오게 됩니다. 한림별곡 최초의 경기체가 작품 저자--- 한림제유 한문학적 소양이 있는 사대부들이 그들의 학문 세계, 호탕한 기상과 자긍심을 경기체가를 통해 표출하였다. 고려말엽에 나온 문학장르인 경기체가에서 ‘경기체가’라는 명칭은 후렴구 ‘~경(景) 긔 엇더하니잇고’에서 비롯되었습니다.고려시대에 나온 경기체가 작품으로는 고려 고종 때 나온 작품인 한림별곡을 비롯하여 안축의 작품인 관동별곡(關東別曲)과 죽계별곡이 있습니다. 고려시대 경기체가 작품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고려 고종 때.. 2023. 7. 27. 강호사시가 조선시대의 연시조인 강호사시가는 계절별로 지어진 연시조 입니다 강호사시가에는 亦君恩(역군은)이샷다라는 후렴구가 있습니다. 강호사시가의 춘사(春詞) 江湖(강호)에 봄이 드니 미친 興(흥)이 절로 난다 濁醪溪邊(탁료계변)에 錦鱗魚(금린어)ㅣ 안주로다 이 몸이 閑暇(한가)옴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 강호사시가의 하사(夏詞) 江湖(강호)에 녀름이 드니 草堂(초당)에 일이 업다 有信(유신) 江波(강파) 보내니 람이다 이 몸이 서옴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 강호사시가의 추사(秋詞) 江湖(강호)에 이 드니 고기마다 져 잇다 小艇(소정)에 그믈 시러 흘리 여 더뎌 두고 이 몸이 消日(소일)옴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 강호사시가의 동사(冬詞) 江湖(강호)에 겨월이 드니 눈 기픠 자히 남다 삿갓 빗기 고.. 2023. 7. 2. 농본주의 경제정책을 실시 하였던 조선 조선은 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농본주의 경제정책을 실시 하였습니다. 농업 생산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기도 했는데요 토지를 개간하거나 수리 시설을 확충하고 농업 기술 혁신 등에 많은 힘을 기울였습니다. 조선의 경제----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농본주의 경제정책 조선 초기부터 황무지를 적극 개간한 경과 조선초에 100만 결 정도에 지나지 않던 농지가 세종 때에는 160만 결로 늘어나면서 농업생산량도 크게 증가 하였습니다. 농업이 중심이된 조선시대에는 영농 기술도 크게 발전되었는데요 모내기법이 남부 지방에서 보급되면서 보리와 벼의 2모작이 이루어졌습니다. 식량을 확보하기 위한 벼농사 뿐만 아니라 면화 재배가 크게 확대되고 각종 원예 작물과 과수의 재배도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세종때의 조세 제도 .. 2023. 6. 25. 반정으로 물러난 왕 조선의 왕 중에서 반정으로 물러난 왕으로는 광해군과 연산군이 있습니다 광해군은 선조에 이어 즉위한 왕이고요 연산군은 성종에 이어서 즉위한 왕입니다. 광해군 시기에는 북인세력의 공안정치가 있었고요 연산군 시기에는 두 차례이 사화가 있었습니다. 광해군과 연산군은 반정으로 물러났기 때문에 정식 묘호도 받지를 못했습니다. 반정으로 물러난 왕 광해군과 연산군 경희궁은 우여곡절 끝에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이 왕권 확립을 위해 만든 이궁입니다다 --------------------------------------------------------------------------------------------- ●임진왜란 당시 전쟁을 지휘 했던 광해군 1592년부터 1598년까지 6년 간 일어났던 임진왜란 당시 전쟁을 .. 2023. 6. 25. 이전 1 2 3 4 5 6 7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