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조선

조선시대의 윤리서와 역사서

by 산골지기 2023. 5. 22.
728x90

조선시대의 윤리서인 행실도


성리학을 통치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시대에는 유교 윤리 보급을 위해서 행실도를 편찬 하였습니다.

충신, 효자, 열녀 등 좋은 행실을 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수록한 행실도는

매 이야기마다 그림을 넣었기 때문에 평민들도 잘 이해를 할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행실도는 책으로 편찬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림이나 병풍으로 제작되기도 했습니다.

--------------------------------------------------------------------------------------------------------------------------------------

삼강행실도
이야기마다 그림을 첨가하여 설명---
평민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

세종 대에 간행한 삼강행실도에서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충신, 효자, 열녀들이 소개가 되고 있습니다.

삼강행실도에는 그림이 첨가가 되어 있습니다

 

성종 대에는 삼강행실도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요 삼강행실도 언해본이 간행되기도 했습니다.

중종 대에는 [속 삼강행실도][이륜행실도]가 간행되었습니다.

삼강행실도의 충과 관련한 그림

 


임진왜란이 끝난 이후인 광해군때에는 [동국신속삼강행실도]를 간행하였습니다.

이는 조선후기로 가서 정조 대에는 오륜에 대해서 잘 설명한 [오륜행실도]가 간행되었습니다.

조선시대의 행실도 간행
세종 삼강행실도
성종 삼강행실도 언해본
중종 속 삼강행실도
광해군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정조 오륜행실도

오륜행실도는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책인데요 정조때에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종합하고 정리하여 편찬을 하였습니다.

오륜행실도의 첫 머리에는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이하여

효사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오륜행실도를 제작하였다고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조선 세종 때에 간행된 삼강행실도와 중종때에 간행된 속삼강행실도의 속편으로서

임진왜란 이후에 정표를 받은 충신 · 효자 · 열녀 등을 중심으로 하여 편찬되었습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사람마다 1장의 그림을 붙이고 한문 다음에는 국문해설을 붙여서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습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조선 세종 때에 간행된 삼강행실도와 중종 때에 간행된 속삼강행실도의 속편
광해군이 유근 등에 명하여 편찬한 1818책으로 이루어진 윤리서

삼강행실도의 언해본은 성종시기에 나오게 됩니다

 


조선후기 정조시기에는 오륜행실도가 간행이 되었습니다

조선 시대의 역사서 편찬

조선은 성리학적 통치규범을 확립하기 위하여 역사서의 편찬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대표적인 조선시대의 역사서로는 각 왕들의 업적을 기록한 왕조실록을 들 수 있는데요

조선왕조실록은 기록이 방대하고 내용이 뛰어나기 때문에 현재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에 선정이 되어 있습니다.

조선 초기의 역사서로는 고려국사를 들 수가 있는 데요

조선의 개국공신인 정도전은 고려국사를 편하여 고려 시대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이후 15세기에는 고려시대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정리한 고려사가 편찬이 되었는 데요

고려사는 삼국사기의 역사서술방식과 같은 기전체로 서술이 되었습니다.

이후 고려사의 내용을 보완한 역사서인 고려사절요도 편찬이 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고려시대에 대한 역사서
고려사 기전체로 서술
고려사절요 편년체로 서술

성종 때에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전체적으로 설명한 동국통감이 간행 되었습니다.

편년체로 편찬된 동국통감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관심은 조선 후기 실학자들에게 나타나게 되는데요

조선 후기 실학자인 안정복은 동사강목이라는 역사책을 저술하여 우리역사를 다시 조명하였고요

유득공은 발해고를 저술하여 발해가 우리역사라는 점을 강조 하였습니다.


유득공의 [발해고]
통일신라와 발해가 양립하던 시기를 남북국시대로 표현

조선 후기 실학자인 안정복이 지은  동사강목에서는

삼한정통론을 주장하며 마한의 역사를 중요시 하였습니다.

'우리 역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의 달력  (0) 2023.06.08
조선시대 편찬된 서적  (0) 2023.05.25
고려와 조선 시대의 도자기  (0) 2022.06.12
동의 보감과 외형편  (0) 2022.02.18
칠정산과 시헌력  (0) 2022.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