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조선218 조선의 토지 제도와 조세제도 조선의 토지 제도는 과전법에서 시작이 되었는데요 과전법은 고려 말의 사전 개혁에서 완성된 것입니다.과전법의 시행을 적극추진한 계층은 신진사대부들이었습니다.고려말에는 권문 세족이 축적한 토지를 몰수하여 재분배함으로써 조선 왕조를 건국한 신진 사대부 세력의 경제적 기반을 확보해 주었습니다.과전법에서의 모든 토지는 국가가 수조권을 가지는 공전과 개인에게 수조권을 나누어 준 사전으로 구분이 되었습니다.공전은 대부분의 일반 농민이 소유하고 있던 민전을 말하는데요 국가는 농민들에게 공전의 경작권을 보장해 주고 이들로부터 조세를 받았습니다.공전대부분의 일반 농민이 소유하고 있던 민전 농민들에게 공전의 경작권을 보장해 주고 이들로부터 조세징수조선시대의 사전조선시대의 사전에는 관리들에게 주는 과전을 비롯하여 공신에게 .. 2024. 6. 17. 조선시대의 문화 한글의 창제 우리 나라는 일찍부터 한자를 써 왔습니다. 한자의 사용으로 인하여 우리말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지배층과 피지배층 사이에 직접적이고 공식적인 의사 소통의 필요성이 커졌고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문자가 요구되었습니다. 조선의 4대왕인 세종은 집현전 학자들을 중심으로 정음청을 설치하였고요 여기에서 음운을 연구하여 한글을 창제하였습니다. 한글은 중국의 문자인 한문에 비해서 배우기 쉽고 조직적이었습니다. 한글의 창제 1443년에 제정 1446년에 반포 또 세종대왕 시기에 만들어진 한글은 마음대로 표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글자 제작의 원리가 매우 과학적이었습니다. 세종 대왕은 한글을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용비어천가를 지었고요 훈민정음을.. 2024. 4. 21. 세종대왕 세종대왕은 조선시대 4대 왕 중 하나로, 한국 역사상 가장 유명하고 중요한 왕 중 한 명입니다. 그의 통치 시기는 15세기 초반으로, 조선시대에서 한국 문화와 과학 기술의 발전을 이끌었습니다. 세종대왕의 가장 유명한 공적 중 하나는 한글 창제입니다. 당시 한자가 통용되던 상황에서 일반 백성들이 글을 쓰고 읽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쉽게 읽고 쓸 수 있는 글자를 창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세종대왕은 한글 창제를 위해 학자들과 함께 수십 년간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1443년에 한글이 창제되었습니다. 한글은 28개 자모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글자는 자연에서 나타나는 소리를 표현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로써 한글은 쉽게 배울 수 있고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기에 편.. 2024. 4. 21. 조선시대 천문학 자격루는 물의 힘으로 자동적으로 운행하면서 시각을 알리는 장치로, 이를 경회루 남쪽에 지은 보루각(報漏閣)에 설치하여 작동하도록 하였다. 이외에 흠경각을 천추전 서쪽에 짓고 그 속에 천지(天地)의 운행을 보여주는 기계장치를 하여 수력으로 돌게 만들었다. 이 보루각과 흠경각의 장치는 매우 정교한 것으로 세종대 기계기술의 정화라고 할 만하다. 좀더 간편한 소정시의(小定時儀)와 행루(行漏)도 제작, 사용하였다. 1433년에는 또다시 천문도를 돌에 새겼다고 하는데, 현존하지 않는다. 1442년에는 측우기(測雨器)를 제작하였는데, 이 우량 측정도 서운관원 업무의 하나였다. 1466년(세조 12)에는 각도와 축적의 원리를 이용해서 원근과 고저를 측량하던 장치인 인지의(印地儀)를 만들었습니다. 인지의 각도와 축척의 .. 2023. 11. 16. 이전 1 2 3 4 5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