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조선

경기체가

by 산골지기 2023. 7. 27.
728x90

 

경기체가는 고려말에 성행한 시가입니다.

13세기 초에 나온 한림별곡(翰林別曲)은 최초의 경기체가 작품인데요

최초의 경기체가 작품인 한림별곡의 저자는 한림제유 입니다

이 작품이 나온 후 조선 중기까지 20편이 넘는 작품들이 나오게 됩니다.

조선시대 경기체가 작품

 

한림별곡
최초의 경기체가 작품
저자--- 한림제유

한문학적 소양이 있는 사대부들이

그들의 학문 세계, 호탕한 기상과 자긍심을 경기체가를 통해 표출하였다.

고려말엽에 나온 문학장르인 경기체가에서 경기체가라는 명칭은 후렴구 ‘~() 긔 엇더하니잇고에서 비롯되었습니다.고려시대에 나온 경기체가 작품으로는 고려 고종 때 나온 작품인 한림별곡을 비롯하여  안축의 작품인 관동별곡(關東別曲)과 죽계별곡이 있습니다.

고려시대 경기체가 작품
한림별곡
관동별곡
죽계별곡

고려 고종 때 나온 작품인 한림별곡은 한림제유들이 지었습니다.

조선시대에 지어진 경기체가 작품에는 화전별곡을 비롯하여 불우헌곡, 독락팔곡, 상대별곡, 화산별곡, 가성덕, 배천곡, 오륜가, 도동곡, 태평곡 등이 있습니다.

 죽계별곡은 안축의 고향인 경북 영주군 순흥에 있는 죽계의 경치를 노래한 경기체가인데요

죽계는 순흥리에 있는 시내 이름 입니다


♣ 죽계별곡

죽계는 순흥리에 있는 시내 이름 입니다

안축의 고향인 경북 영주군 순흥에 있는

죽계의 경치를 노래한 경기체가

죽계--- 순흥리에 있는 시내 이름


상대별곡은 신진사대부인 권근이 지었는데요 악장으로 분류가 되기도 합니다.

상대별곡에서 상대는 조선시대의 감찰 기관인 사헌부를 말합니다.

조선시대의 감찰 기관인 사헌부를 소재로 지은 상대별곡은 모두 5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모두 5장으로 되어 있는 상대별곡의 첫 장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북한산의 남쪽, 한강의 북쪽,

옛날부터 이름난 경치 좋은 땅,

광교, 종로 건너 들어가 휘휘 늘어진 소나무,

우뚝 솟은 잣나무(사직의 원로 대신), 위엄 있는 사헌부.(위) 청렴한 모습 그것이 어떠합니까?

(엽) 영웅 호걸 당대의 인재들 영웅 호걸 당대의 인재들(위) 나를 위시하여 몇 사람입니까?

모두 5장으로 되어 있는 상대별곡의 2 장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닭이 이미 울고 날이 밝아 올 때,

잣나무가 호위하듯 길게 늘어선 길로, 대사헌,

노집의, 장령, 지평 등 사헌부 관리들이 아름다운 가마를 타고,

앞에서 길을 치우고 뒤에서 옹위하며, 잡인의 통행을 막으면서,아, 사헌부로 등청하는 광경, 그것이 어떠합니까?엄숙하도다. 사헌부의 관리들, 엄숙하도다, 사헌부의 관리들,아, 허물어진 기강을 떨쳐 일으키는 광경이 그 어떠합니까?

경기체가는 한자어를 나열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데요 상류층인 일부 사대부층에서 즐기던 문학 장르입니다.

조선시대 경기체가 작품
화전별곡
불우헌곡
독락팔곡
상대별곡
화산별곡
가성덕, 배천곡
오륜가, 도동곡, 태평곡

상류층인 일부 사대부층에서 즐기던 문학 장르인 경기체가는 조선전기가 지나면서 차츰 사라지게 됩니다.

 

 

 

'우리 역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태종  (0) 2023.07.30
조선시대의 악장과 시조  (0) 2023.07.29
강호사시가  (0) 2023.07.02
농본주의 경제정책을 실시 하였던 조선  (0) 2023.06.25
반정으로 물러난 왕  (0) 2023.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