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우리 역사/근현대사180 광주학생항일운동 광주학생항일운동은 1929년 11월 3일부터 광주시내에서 일어난 일본 학생의 한국 여학생 희롱으로 일어난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간 충돌과 11월 12일 광주지역 학생 대시위운동을 거쳐, 한편으로는 호남지역 일대로 확산되고, 다른 한편으로 서울을 거쳐서 전국 가지로 확산된 항일운동으로 1929년 11월 말에서 1930년 3월이나 5월까지 전국적으로 확산된 학생독립운동을 말한다. 12월에는 경성과 평양, 함경도 등지와 같은 국내 지역과 만주벌에 위치한 간도 등으로 확산되었고, 1930년 5월까지 전국적인 동맹휴학, 학생 항일 시위로 변모,발전했다. 학생의 날은 해방 직후 서울에서 독립운동가들이 모여 일제시대 항일운동에 기여했던 학생들의 독립운동을 기념하는 의미로 11월 3일을 학생의날로 정한데서 비롯되었으.. 2018. 5. 29. 우리나라 근대 학교 19세기 말엽에 우리나라에는 근대 학교들이 설립이 되기 시작하였다. 가장 먼저 민간인들에 의해서 설립된 근대학교는 함경도 덕원의 원산학사였다. 이후 정부주도의 학교들도 세워지게 되었는데 영어 강습기관인 동문학이 1883년에 세워지게 되었고 역시 외국어와 신지식을 가르치기 위하여 1883년에 육영공원을 건립하였다. 육영공원에서는 헐버트등 미국인 교사 3명을 초빙하여 근대교육을 실시하였는데 여기서도 주로 영어 교육을 하게되었다. 이후 육영공원의 교사인 헐버트는 고종을 도와서 우리나라의 민족운동에 협조하기도 하였다. 이후 근대학교는 기독교의 선교사들을 통하여 많이 건립이 되었는데 배재학당이나 이화학당 정신여학교등이 기독교의 선교사들에 의하여 설립된 학교였다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에서는 최초의 근대 .. 2018. 4. 14. 유신헌법 유신헌법은 박정희 대통령이 자신의 장기집권을 위하여 만든 헌법이라고 하겠습니다 유신헌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대통령 직선제의 폐지 및 통일주체국민회의의 간접 선거. 국회의원의 1/3을 대통령 추천으로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 대통령에게 헌법 효력까지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는 긴급조치권 부여. 국회 해산권 및 모든 법관 임명권을 대통령이 갖도록 하여 대통령이 3권 위에 군림할 수 있도록 보장. 대통령의 임기를 6년으로 연장하고, 연임 제한을 철폐하여 종신 집권을 가능케 함 10·17 비상조치(대통령 특별선언)의 내용 1972년 10월 17일 19시를 기하여 국회를 해산하고, 정당 및 정치 활동의 중지 등 현행 헌법의 일부 조항 효력을 정지시킨다. 일부 효력이 정지된 헌법조항의 기능은 .. 2018. 4. 13. 주시경 주시경은 조선의 언어학자이자 국문학자이다. 본관은 상주, 자는 경재(經宰), 호는 한힌샘이다. 독립협회 활동을 하던 도중 한글 표기법 통일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우리말 문법을 정리하였다. 독립신문 발행과 각종 토론회, 만민공동회의 자료를 민중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글로 써야 했기 때문이었다. 한글이라는 낱말을 만들어 현대 한글 체계를 정립하고 보급하였으며, 한국어 연구에 공헌하였다. 현대 국어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한글의 보급과 연구 및 근대화에 힘을 쏟았고 그로 인해 오늘날 한국이 한글을 공식적으로 쓰게 되었다. 평소 곧고 원리원칙주의를 따르는 성격 때문에 일제의 탄압에도 한글에 대한 연구와 보급을 끊임없이 진행하였으며, 민족주의적인 성격을 지녀 한글 교육에도 힘썼다. 개신교에서 대종교로 개종한 것.. 2017. 10. 29. 이전 1 ··· 3 4 5 6 7 8 9 ··· 4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