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우리 역사/근현대사180

최익현 최익현은 김기현과 이항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노론 화서학파의 지도자이자 위정척사파의 중심 인물이었고, 흥선대원군의 월권행위를 비판하였다. 1855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며 동부승지, 참의, 돈녕부의 도정 등을 역임했다. 최익현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에 반대하여 1863년 흥선대원군의 집권과 개혁 정책을 적극 지지했으나 1874년 흥선대원군을 공격하여 실각시켰다. 그 뒤 의정부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고종 즉위 직후부터 나온 정도전 정인홍, 윤휴, 이현일 등의 복권 여론을 친구 김평묵과 함께 결사 반대하여 좌절시켰다. 1876년 강화도조약 반대에서 가일층 부각되었다. 도끼를 메고 광화문에 나아가 올린 개항오불가(開港五不可)의 '병자척화소'(丙子斥和疏)를 올린 뒤부터는 개항 반대와 위정척사운.. 2018. 10. 4.
갑신정변 갑오개혁 동학농민운동 갑신정변 갑오개혁 동학농민운동의 공통점이 농민 중심의 개혁 운동인 것은 아닙니다 갑신정변은 1884년에 김옥균을 비롯한 급진개화파들에 의하여 일어난 사건이고요 갑오개혁은 김홍집을 중심으로한 당시의 행정관료들에 의하여 이루어진 개혁입니다. 마지막 동학농민운동만이 농민들이 주축이된 농민 중심의 개혁 운동이 되겠습니다 갑신정변( 1884년 급진개화파 중심) ---- 갑오개혁(1894년 김홍집을 비롯한 행정관료 중심)--- 동학농민운동( 1894년 농민들이 주축이된 농민혁명) 2018. 9. 28.
독도 독도는 신라 지증왕때에 이사부가 이지역을 차지하여 우리영토로 만들었습니다 신라 이찬(伊飡)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을 정벌하여 신라가 우산국을 복속합니다. 이로써 울릉도와 독도는 우리 역사와 함께 하기 시작합니다. 『동국문헌비고』 (1770년)에는 “울릉(울릉도)과 우산(독도)은 모두 우산국의 땅”이라고 기술했습니다 조선시대의 『세종실록』「지리지」에 독도가 우리영토임을 잘 기술하고 있습니다 조선 초기 관찬서인 『세종실록』「지리지」(1454년)는 울릉도와 독도가 강원도 울진현에 속한 두 섬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산(독도) 무릉(울릉도)… 두 섬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 날씨가 맑으면 바라볼 수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울릉도에서 날씨가 맑은 날 육안으로 보이는 섬은 독도가 유일합니다.. 2018. 9. 28.
제암리 학살 1919년 4월 15일, 제암리에 일본군인 13명이 들이닥쳤다. 3.1운동 직후, 만세시위로 뒤숭숭해진 마을의 치안을 위한다는 명목이었다. 일본군은 기독교도·천도교도 약 30명을 교회당 안으로 몰아넣은 후 문을 잠그고 집중사격을 퍼부었다. 이 같은 만행의 증거를 없애기 위해 일본군은 교회당에 불을 지르고, 바깥으로 나오려고 아우성치는 사람들까지 모두 타죽게 만들었다. 이 같은 사실은 제암리를 방문한 선교사들과 외신에 의해 전 세계로 알려졌다. 특히 스코필드 박사가 이사건을 알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부 일본인들이나 종교단체에서 용서와 화해를 청하며 제암리를 방문했으나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사죄 표명은 없었다 ● 제암리 학살 지역 ----- 사적 제299호로 지정 기독교계에서는 "제암리감리교회 사건".. 2018. 9. 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