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우리 역사/근현대사180 한국교회 형성 한국 교회 형성사 저자 존스 지음 출판사 (주)홍성사 | 2013-11-18 출간 카테고리 종교 책소개 한국 개신교 초기 역사 전반에 대한 최초의 통사(通史)100여 ... 00여 년 전 격동의 한반도에서 활동했던 선교사 존스가 귀국 후 선교 행정가, 역사가, 강사로서 당시를 회상하며 다양한 1차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한 개신교 여명기의 발자취. 1884-1916년 무렵 한국의 사회상과 개신교 교회사를 담아 1917년에 썼다. 토착 교회의 형성에 초점을 둔 ‘선교사관’의 입장에서 개신교의 한국 전래사를 신학적 언어로 서술했으며, 선교 현장에서 경험한 사건들에 대한 생생한 증언과 1세대 선교사의 견해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기독교와 한국 토착 종교의 접촉점을 다룬 5장은 이 책의 핵심이며, 그의 예리한 안목.. 2015. 7. 20. 상동교회 2015. 7. 20. 스크랜튼의 내한 스크랜튼 대부인은 그의 가족과 아펜젤러 가족 일행과 함께 1885년 2월 3일 아라빅호(Arabic)로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출발하여 2월 27일 일본 요코하마에 도착하였다. 일본에 도착한 선교사 일행은 한국 선교사업 관리자로 임명된 매클레이의 환영과 안내를 받으며 한국 선교를 위한 구체적인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당시 일본에는 이수정을 중심으로 한 일단의 유학생 교인들이 신앙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외에 갑신정변(1884. 12. 4)의 실패로 일본에 정치적 망명을 해 온 개화파지도자들도 상당수 있었다. 김옥균․서광범․홍영식․서재필․유성준 등이었다. 이들은 서구 기독교에 대해서 호감을 가지고 있었다. 선교사들은 이들을 통해 한국말을 익혔으며 한국의 정치․문화적 상황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18.. 2015. 7. 20. 투쟁기의 신문 1904년 7월 18일에는 새로운 중요한 민족지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가 창간되었다. 이 신문은 러일전쟁을 취재하기 위하여 영국의 《데일리 크로니클 Daily Chronicle》 한국 특파원으로 왔던 영국인 베델(Bethell, E. T., 한국이름 裵說)이 창간한 것으로, 총무 양기탁(梁起鐸)을 비롯한 민족진영 인사들이 실질적인 제작을 전담하였다. 일본측은 이 때부터 한국에서 발간되는 신문에 대하여 직접적인 탄압을 가하기 시작하였으므로, 이 신문의 출현은 민족진영에 큰 활력소가 되었고 한말 항일운동의 마지막 보루구실을 할 수 있었다. 민족언론에 대한 외세의 간섭은 1898년 무렵부터 노골화되어 이해 5월에는 러시아와 프랑스가 신문을 규제할 법규를 제정하라고 우리 정부에 요구하였다. 우리 정부도 .. 2015. 6. 30.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