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고려140

고려의 사대부 고려의 사대부는 고려말에 성리학 사상으로 무장한 새로운 세력인 신진사대부를 의미합니다 한국에서 사대부는 고려 말, 조선 때의 성리학 즉 주자학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력을 가지고 있는 학자적 관료를 말한다. 고려의 귀족정치 관료층인 사대부는 무신 정권이 타도된 이후 더욱 활발히 정치적인 진출을 하였다. 사대부들은 중앙관부의 이직자(吏職者) 중에서도 나왔지만 그보다도 지방의 향 향리 출신의 이들 사대부는 곧 재향 지주(在鄕地主)이기도 하였다. 지방의 중소 지주인 그들은 학문적인 교양을 바탕으로 하여 과거를 거쳐 중앙의 정치무대로 진출하였다.나서 향리(鄕里)에서의 생활을 즐기기도 하였다. 그들의 사회적 진출은 드디어 고려의 정치적 대세를 변화시켰던 것이"사대부"이다. 무신 정권이 무너지고 원간섭기에 들면서 신진.. 2017. 12. 1.
최충--- 해동공자 고려시대의 인물로 최충을 꼽겠습니다 최충은 고려 전기의 문신(文臣)이자 유학자이다. 본관은 해주(海州)이며, 아전 최온(崔溫)의 아들이다. 목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은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고려에 유학 열풍을 일으켰다. 1013년 황주량 등과 함께 칠대실록의 편수작업에 수찬관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문종 즉위 후 법령을 개정하여 고려 멸망시까지 고려의 국법의 기틀을 완성시켰다. 총 9개의 서재로 이뤄진 구재학당을 세움으로써 최초의 사립학교 설립자가 되었다. 시중으로 도병마사를 겸하게 되자 서북 주(州)·진(鎭)의 공역(工役)의 금지를 청하여 시행하게 하였으며, 동여진(東女眞) 등을 비롯한 야인들에 대한 대비책을 건의하였다. 은퇴 후에는 학당인 구재학당에서 유학자들을 양성했는데 이후 개경의 사학십이도의 모.. 2017. 11. 3.
고려의 경제 고려의 경제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이 되겠습니다 토지 제도 전시과 → 관직 복무와 직역의 대가로 수조권 지급 농업 중농 정책 시행,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 일반화, 2년 3작의 윤작법 보급, 고려 말 남부 일부 지방에 모내기법 보급, 시비법발달(→ 휴경기간 단축) 수공업 관청 수공업 중심, 소 수공업과 사원 수공업 발달 상업 화폐 발행(건원중보, 삼한중보, 해동통보, 은병 등), 시전 상업 중심 → 고려 후기에 교통 중심지가 상업 중심지로 성장 고려의 대외 무역 대송 무역 중심,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발달, 아라비아 상인 왕래 2017. 9. 23.
무신정권 시대 무신정권 시대는 이의방 -> 정중부 -> 경대승 -> 이의민 -> 최충헌 - 최우 ㅡ> 최항으로 이어지고요 최씨정권이 무너진 이후에도 임연과 임유무 부자가 무신정권을 명맥을 유지하게 됩니다 무신정변은 문벌과 문신들의 주도와 무신에 대한 차별에 반기를 든 정변으로, 무신들이 근본적인 사회개혁을 추구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무신정변 이전부터 고려사회는 상층으로부터 하층사회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변화하고 있었으며, 무신정변 이후에는 그 변화가 더욱 현저해졌다. 무신들의 집권이 확고해지자, 무신과 문신간에 공존을 위한 타협이 진행되면서 통혼이 이루어졌다. 특히 집권 무신세력들과 기존의 문벌들 사이에서 적극적으로 통혼이 추진되었다. 이는 집권 무신세력들로서 문벌층의 권위를 끌어들이는 것이었고, 문벌층으로서도 집권.. 2017.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