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조선

조선 후기의 실학 사상

by 산골지기 2022. 1. 30.
728x90

조선 후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백성들의 생활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당시 유학자들은 실생활에 도움이 되지도 않는 이론과 예법 만을 중요시하였는데요

이에 반발하면서 등장한 사상이 실학 입니다.

조선후기의 실학자들은  학문이 백성들의 생활에서 멀어지는 것을 안타까워하였습니다.

그리고  백성들의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실적인 학문인 실학을 새롭게 주장 하였습니다.

조선 후기의 실학 사상
실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실적인 학문
예법 만을 중요시하였던 성리학에  반발

토지제도의 개혁을 주장
상공업의 유통과 기술 개발을 추구
실증적인 경학 연구를 추구

조선 후기의 실학 사상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는데요 

하나는 토지제도의 개혁을 통해 농업을 살리자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상공업의 유통과 기술 개발을 추구한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경서 고증이나 금석학 등 실증적인 경학 연구를 추구한 것이었습니다.

북학파의 대표사상사인 박지원

중상주의 실학자들은  상공업 발전론을 주장하였는데요 중상주의 실학자들은 청나라의 문물도입을 주장했기 때문에  북학파라고도 합니다.

북학파의  대표적 인물로는 홍대용을 비롯하여  박지원 · 박제가 등이 있습니다.

홍대용은 당시 허위의식에 사로잡혀 있던 성리학자들을 풍자하고

객관적 입장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과학 정신을 강조했고요 

청나라의 문물도입을 주장한 박지원은 청나라의 기와 · 벽돌 · 아궁이 · 굴뚝의 모습까지 세심히 관찰하여

우리의 생활에 유용하게 이용할 방법을 찾았습니다.

조선후기의 천문학자인 홍대용은 한국의 코페르니쿠스라는 별명을 가진 인물입니다.

조선후기의 천문학자인 홍대용

 

박지원은 ‘신이 세계를 창조했다’는 식의 종교적 관념론을 비판하고 세계를 물질적인 것으로 보았습니다.

북학파 박지원은 우주 만물이란 미세한 티끌이 모여 운동 · 변화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고 하였습니다.

◆실학을 집대성한 정약용

실학을 집대성한 인물은 정약용 입니다.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실학자인 정약용은  당시의 실학 사상을 집대성하여 정리하고,

정치 사상이라든가 사회 개혁을 위한 노력, 과학 기술 문명 발전에 힘썼습니다.

실학을 집대성한 정약용

정약용은 인간의 심성은 선이나 악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행위의 구체적 실천을 통해 결단을 촉구하는 자유의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자유의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보는 정약용의 사상을 성기호설이라고 하는데요

 성기호설에서는  인간의 덕은 인간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행위 속에서 실천하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정약용은 사회 개혁의 방법으로 당시 사회적 모순의 근본이었던

토지제도의 개혁을 통해 사회개혁을 주장하였습니다.

정약용이 주장한 토지제도로는 여전제가 있습니다.

◆실증주의적인 학문추구 방법을 취한 최한기

조선후기에 실증주의적인 학문추구 방법을 취한 학자로 최한기가 있습니다.

실증주의적인 학문추구 방법을 취한 학자인  최한기는 자신만의 독특한 기학사상을 형성하였습니다.

실증주의적인 학문추구 방법을 취한 최한기

새로운 기학사상을 형성한 최한기는 조선후기의 인물로

과학과 종교가 완전히 분리된 19세기 초의 서양과학 지식을 기초로 하여

자신의 독특한 ‘기학’을 형성했습니다.

최한기
실증주의적인 학문추구 방법을 추구
자신만의 독특한 기학사상을 형성
우주가 인식 가능한 기로 형성돼 있다고 주장

실증주의적인 학문추구 방법을 취한 최한기는 철저하게 실증과학 입장에 서서 유학의 이기론에서

신비주의를 제거하고 새로운 기학을 만들었습니다.

최한기는 우주가 인식 가능한 기로 형성돼 있다고 하였습니다




'우리 역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의 보감과 외형편  (0) 2022.02.18
칠정산과 시헌력  (0) 2022.01.30
시헌력의 도입  (0) 2021.06.29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지리서와 음악서  (0) 2020.12.03
조선후기의 시조인 사설시조  (0) 2020.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