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조선218

우리나라의 글인 한글 훈민정음은 세종이 집현전 학사인 정인지·성삼문·신숙주 등의 도움으로 1443년에 창제해서 세종 28년인 1446년에 반포를 하였습니다, 조선의 제4대 임금 세종은 우리나라의 글인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말과 글이 하나 된 풍요로운 세상을 열었습니다.훈민정음 창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기관은 집현전인데요 정인지,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등의 집현전 학사는 세종을 도와 훈민정음의 해설서 훈민정음 해례본을 만들었습니다.집현전 학사정인지성삼문박팽년신숙주●허균과 최세진조선시대에 한글문학 확산에 이바지한 인물로는 최초의 한글소설인 홍길동전을 쓴 허균과 한글로 외국어를 가르친 역관 최세진을 들수가 있습니다.홍길동전 최초의 한글소설 최세진은 조선 연산군과 중종때 활동한 어문학자이자 당대 최고의 중국어 연구의 대가였는데요.. 2024. 11. 29.
우리나라의 역사서 *동국통감성종시기에 편찬된 동국통감은 외기(外紀)와 삼국기(三國紀), 신라기, 고려기로 이루어졌습니다동국통감은 이전에 편찬된 삼국사절요와 고려사절요를 기반으로 하여 편찬 체계를 잡았습니다.또 이전의 내용중에서 번잡한 내용을 삭제하였고요 삼국사절요나 고려사절요의 오류를 수정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졌습니다.동국통감의 기반삼국사절요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앞부분에는 진동국통감전(進東國通鑑箋)과 이극돈이 지은 동국통감서(東國通鑑序)가 있습니다.또 동국통감의 서술 원칙을 실은 범례와 목차에 해당하는 목록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동국통감의 외기동국통감의 외기에는 단군조선을 비롯하여 기자조선, 위만조선에 대한 내용이 있고요 사군(四郡)과 이부인 平州都督府·東府都督府에 대한 내용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와 함께 삼한(三韓)에 .. 2024. 11. 29.
조선시대의 달력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달력 칠정산은 . 내편과 외편으로 되어 있는데,  중국 원나라의 역법과 명나라의 역법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꾸민 것입니다  세종은 고려 시대부터 왕립 천문기상대 역할을 하던 서운관의 이름을 관상감으로 바꾸고 경복궁 경회루 북쪽에 간의대를 세워 별자리를 비롯하여 일출과 일몰, 일식과 월식, 혜성과 행성의 운행을 관찰토록 했습니다. 간의대는 조선시대의 천문대인데요 천체 관측기구인 간의(簡儀)를 올려 놓았다고 하여  간의대라고 했습니다. 조선은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왕립(王立) 중앙천문기상대로서 서운관을 두었고  그 관측시설로 간의대를 설립하였습니다 조선시대의 천문대인 간의대는 다음과 같이 추정이 되고 있습니다. 서운관은 태복감·사천대·사천감·관후서 등으로 불리었습니다. 이후.. 2024. 6. 17.
조선전기의 경제 고려 말에 국가 재정이 파탄에 이르고 민생이 피폐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조선 초기에는 국력을 증진시키고 민생을 안정시키는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유교국가인 조선은 처음부터 농업을 기본으로 하는 농본주의 경제 정책을 실시하였습니다. 유교의 왕도 정치 사상에서는 민생의 안정을 중요시하였기 때문에 조선은 농업을 진흥시키고 농민의 조세 부담을 줄이고자 하였습니다. 조선전기의 경제 농업을 기본민생의 안정을 중요시농본주의 경제 정책조선 초기의 핵심세력인 신진 사대부들은 유교 정치 사상에 입각하여 중농 정책을 국가 산업 시책의 기본으로 삼았습니다.조선시대에는 농업을 중시하는 중농 정책으로 인해 토지 개간과 양전 사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습니다.경작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가운데 15세기 중엽에는 경지 면적이 160.. 2024.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