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한국사인물28

김유신 김유신의 대표적인 업적은 김춘추와 함께 삼국을 통일하는 위업을 달성햇다는 것입니다. 김유신의 조상은 신라에 의해 532년(법흥왕 19)에 멸망한 금관가야의 왕족이었습니다. 김유신의 아버지는 각간(신라의 최고위급 관직) 김서현, 할아버지는 각간 김무력, 증조부는 구충대왕, 고조부는 겸지대왕입니다. 김유신 가계는 이미 증조부인 겸지대왕 때부터 신라 귀족과 혼인으로 맺어져 있었습니다. 김유신이 가야 출신이지만 신라인의 피가 흐르고 있었던 것입니다. 김유신의 어머니 역시 신라의 왕족인 만명(萬明)부인인데 만명부인은 진평왕의 모후인 만호태후가 진흥왕의 동생인 숙흘종과 사통해 낳은 딸입니다. ♣ 김서현과 만명은 한눈에 반해 몰래 사귀었는데, 숙흘종과 만호태후가 두 사람의 교제를 반대하자 함께 도망가 살다가 유신을 .. 2017. 2. 24.
우당 이회영 선생 우당 이회영 선생은 신민회의 활동에 많은 관여를 하면서 고종황제 망명 , 헤이그 특사 파견 등을 추진 하기도 했습니다 장훈학교, 공옥학교에서 교편을 잡다 신민회의 창립 멤버로 활약하기도 했으며 서전서숙을 설립하였으며 일가 6형제와 함께 유산을 처분하고 만주로 망명하여 신흥무관학교를 설립, 독립군을 양성과 군자금 모금 활동을 했습니다. 그 뒤 신흥무관학교가 일제의 탄압으로 실패하자, 상하이에서 아나키즘 사상에 심취하였으며 1928년 재중국조선무정부공산주의자연맹, 1931년 항일구국연맹 등의 창설을 주도하였으며 국내외 단체와 연대하여 독립운동을 하였습니다. 1931년 9월에는 흑색공포단을 조직하여 일본과 일본 관련 시설의 파괴, 암살을 지휘하였으나 1932년 11월 상하이 항구에서 한인 교포들의 밀고로 체포.. 2017. 2. 18.
효명세자 효명세자는 1809년(순조 9) 순조와 순원왕후의 장자로 창덕궁 대조전에서 태어났다.[2] 1812년 7월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1817년 3월 문묘에 입학례를 올린 뒤 성균관에 입학했고 1819년 3월 경희궁 경현당에서 관례를 치루고 그해 음력 10월 풍양 조씨(후일의 조대비)와 가례를 올렸다. 1827년(순조 27) 2월에는 아버지 순조의 명으로 대리청정을 시작해 안동 김씨의 세도 정치를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코자 했다. 이에 처가인 풍양 조씨와 다른 당파의 인물들을 중용하였으며[2] 특히 이인좌의 난 이후 축출됐던 소론계열 인사까지 등용했다. 1828년에는 창덕궁 안에 사대부의 집을 본따 연경당(演慶堂)을 건립했다. 사대부들의 학구열을 궁 안에 도입하는 한 편, 부왕인 순조가 존호를 받는 행사를 치를.. 2017. 2. 8.
류성룡 류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다. 본관은 풍산(豊山)[1], 자는 이현(而見), 호는 서애(西厓)이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경상도 의성[1]의 외가에서 태어났으며, 간성군수 류공작(柳公綽)의 손자이며, 황해도 관찰사 류중영(柳仲郢)의 차남이다. 이황의 문하에서 후에1590년 통신사로 갔던 조목(趙穆)·김성일과 동문 수학하였으며 성리학에 정통하였다. 과거를 통해 관료로 등용되어 서인이 아닌 이산해와 같은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정여립의 난과 기축옥사를 계기로 강경파인 아계 이산해, 정인홍 등과 결별하고 남인을 형성하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직전 군관인 이순신을 천거하여 .. 2017. 1.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