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사인물28 박정희 박정희(朴正熙[1],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다. 본관은 고령.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선산군에서 태어나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3년간 교사로 재직하다 만주로 가, 만주국 육군군관학교인 신징 군관학교에 입학하였다. 군관학교 시절의 이름은 다카기 마사오[2](일본어: 高木正雄 たかぎ まさお 타카기 마사오[*]), 오카모토 미노루[3](일본어: 岡本實 ) 등이 있다. 졸업 성적 석차 2등으로 신징 군관학교를 졸업한 후, 성적우수자 추천을 받아,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57기로 입학한 후 1944년 성적 석차 1등으로 졸업했다. 만주국 육군 제8단에서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할 때까지 일제가 수립한 만주국의 장교로 근무하였다. 일제가.. 2017. 1. 6. 안창호 안창호는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농민 안흥국(安興國)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아홉 살 때부터 서당에 다니기 시작했으며, 열두 살에 아버지를 여읜 후로는 할아버지 슬하에서 자랐다. 열일곱 살이 되던 해 서울로 와 선교사 언더우드가 세운구세학당에 입학해 신학문을 배우면서 서구 문물을 접했다. 그는 1898년 독립협회 관서 지부에서 일하면서, 만민공동회 연설을 통해 명성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독립협회가 정부의 탄압을 받고 해체되자 고향으로 돌아와 점진학교를 세우고 교육을 통한 구국운동에 뛰어들었다. 점진학교는 우리나라 사람이 세운 최초의 학교이다. 그러나 부족함을 느낀 그는 형 치호(致浩)와 친지에게 학교 운영을 맡기고 1902년 샌프란시스코로 유학을 떠났다. 그리고 이곳에서 한인 노동자들의 어려운 처지.. 2016. 12. 28.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다.훈민정음 창제자의 한사람이다. 본관은 고령(高靈), 자(字)는 범옹(泛翁), 호는 희현당(希賢堂) 또는 보한재(保閑齋)이다.[1]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신장(申檣)의 아들이자 윤회의 손녀사위이기도 하다. 1438년(세종 20년) 생원, 진사시에 모두 합격하고 1439년(세종 21년) 친시문과(親試文科)에 급제하여 세종 때 집현전의 학사로서 성삼문, 박팽년, 정인지 등과 함께 훈민정음의 창제와 연구에 기여하였다. 1447년(세종 29년) 문과 중시(重試)에 4등으로 합격하여 당상관이 되었으며, 이후 계유정난과 세조 반정을 적극 지지하였.. 2016. 12. 28. 개혁 세력의 핵심 인물... 정몽주 정몽주가 이성계, 정도전과 함께 개혁에 동참한 것은 1388년 5월 위화도 회군 이후 그의 행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같은 해 8월 정몽주는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임명되었고, 이후 예문관 대제학(藝文館 大提學),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 정부 요직을 계속 담당하였다. 정몽주가 창왕 폐위와 공양왕 옹립을 주도했던 것도 그가 개혁 세력의 핵심 인물이었음을 잘 보여 준다. 창왕이 개혁 추진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자 1389년 11월에 이성계 등은 우왕과 창왕이 공민왕의 자손인 아니라 신돈의 자손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새 왕으로 추대했다. 이때 공양왕 추대를 주도한 9명이 공신으로 책봉되었는데, 그 9명 중 한 사람이 바로 정몽주였다. 개혁에 걸림돌이 되는 왕을 폐위하는 데 앞장설 .. 2016. 12. 6. 이전 1 2 3 4 5 6 7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