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우리 역사/조선218 한말 의병 의병들은 주로 일본 강점기 이전에 활약을 하게 되는데여 한일합방이 되면서 의병들의 활동도 막을 내렸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일제는 한일합방 1년전인 1909년에 남한대토벌이라고 해서 호남의병에 대한 대대적인 토벌을 하게됩니다. 이 과정에서 마지막 의병들이 소탕되었다고 할수가 있는데요 항일합방후까지 활약한 의병장으로는 채응언이 있습니다. 호남의병은 구국을 위한 마지막 투혼을 펼쳤는데요 이러한 호남의병의 구국의지에 대해서 저평가 하고 있다는 느낌을 많이 받곤 합니다. 채응언은 1907년 의병대에 들어가 항일 항쟁에 뛰어들었는데요 황해도 출신인 이진룡의 의병대나 경기도 북부 지역을 기반으로 한 김진묵 의병대, 또는 서태순, 전병무의 의병대 등에 합류하여 처음 의병 운동을 개시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후 황해.. 2017. 3. 17. 북벌론 북벌론은 북쪽을 정벌하자는 의미인데요 이때 북쪽은 청나라를 의미합니다.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는 엄청나게 힘이 강했지만 당시 조선의 서인세력은 청에 굴복하지 않고 오히려 북벌론을 펼쳤습니다. 북벌론의 기원은 병자호란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요 병자호란이후 청에 인질로 갔던 봉림대군이 조선으로 돌아와 왕이 된이후 청에 대한 강경책인 불벌론을 펼치게 됩니다. 서인세력이 주도한 북벌론은 이후 한계에 봉착하면서 오래가지는 못했는데요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차츰 청과의 관계가 자연스럽게 변하게 되고 조선과 청간의 교류도 증가를 하게 됩니다. 북벌론은 서인세력의 거두인 송시열의 주도하에 이루어지게 됩니다 2017. 3. 11. 홍경래 홍경래는 몰락양반 출신으로 평안도에서 홍경래의 난을 주도한 인물입니다 홍경래는 《조선왕조실록》에 역적으로 기록되어 있자먼 세도정권의 부패, 삼정의 문란 등 조선 후기의 사회적 모순에 저항해 농민 반란을 일으킨 인물로 일반 백성들에게는 전설 속의 영웅이며 민중의 지도자였습니다. 백성들은 그가 언젠가 다시 돌아와 자신들을 고통에서 구해 줄 것으로 믿었습니다. 등 홍경래는 수많은 농민봉기에 영향을 주었고, 조선 후기 사회 변화의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홍경래의 난, 저항의 시대를 열다19세기 세도정치(勢道政治)의 전개와 함께 가장 고통받은 계층은 가난한 농민들이었다. 세도정치(勢道政治)...blog.naver.com 삼정의 문란과 지역차별 - 홍경래의 난세도정치에 의한 삼정의 문란과 지역 차별로 발생한 민란(民.. 2017. 3. 1. 왕실의 기록 조선시대 왕에 옆에서 기록을 적는 사람을 사관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기록은 그대로 역사기록이 되는것은 아니고 역사기록을 위한 기본자료가 되는데 이것을 사초라고 합니다. 이러한 사초를 바탕으로 하여 이후 전체적인 왕실의 역사를 작성한 것이 왕조실록입니다. 왕조실록은 왕이 생존할때에 적는것이 아니라 왕이 죽고 나서 그 왕의 다양한 업적과 행적을 적는 것입니다. 이러한 각 왕들의 기록이 모인것이 조선왕조실록이고 세계적인 기록물이 된 것입니다. 왕으로 즉위했던 인물이 사망하면 현직 왕은 사관 같은 춘추관의 구성원과 정승급 고위 인사를 넣은 임시기구인 실록청을 설치하고, 위에서 언급한 사초, 시정기와 승정원일기 같은 각 관청의 기록들을 모아서 죽은 왕의 실록을 편찬하게 됩니다. 편 찬 과 정 편찬과정은 3단계로 .. 2017. 2. 22.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5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