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우리 역사/조선218

세종대왕의 업적 세종대왕의 업적은 대표적인 것이 훈민정음의 창제이고요 이외에 압록강과 두만강변에 4군6진을 설치하여 영토를 확장시켰다는 것입니다. 지금의 우리나라 영토가 정립된 시기가 바로 조선의 4대왕인 세종대왕의 시기인 것입니다. 이외에 장영실이나 이천등을 등용하여 과학기술을 발달시켰다는 업적을 들수가 있습니다 2017. 4. 24.
조보... 승정원의 소식지 조보는 지금의 소식지와 비슷한 것으로 보면 되겠는데요 중앙의 승정원의 발표사항을 지방각지의 지방관서아 양반지식인층 등에게 전했던 글이라고 보면 됩니다 오늘날 신문이나 잡지와도 비유가 될 수가 있는데 조선시대 조보를 간행한 기관은 왕의 비서기관인 승정원 입니다 조선시대의 중앙정부기구로서 왕명 출납의 기능을 맡았던 승정원에서 주요 소식들을 필사해 중앙 및 기관의 관서를 중심으로 배포했다. 조보 외에도 조지·기별지·저보·저지·난보·경보·한경보·저상 등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2017. 4. 23.
조선 후기 실학자 조선 후기 실학자로는 중농학파와 중상학파가 있는데요 중농학파는 주로 토지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고 중상학파는 상공업을 진흥할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중농학파 사상가에는 정약용과 이익, 유형원이 있고 중상학파에는 박지원,박제가, 홍대용, 유수원등이 있었습니다 유형원: 경세치용파의 선구자로 《반계수록》에서 균전론을 내세워 자영농 육성을 위한 토지 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고, 양반 문벌 제도, 과거 제도, 노비 제도의 문제점을 비판. 이익: 경세치용파의 대표적 인물. 유형원의 실학 사상을 계승, 발전시켰으며, 많은 제자를 길러 성호 학파를 형성. 그는 자영농 육성을 위한 토지제도 개혁론으로 한전론을 주장하고, 저서 《성호사설》를 통해 나라를 좀먹는 여섯 가지의 폐단을 지적 정약용: 토지를 공동 소유하고 이를 공동경.. 2017. 3. 23.
광해군의 폐위 광해군이 명나라를 배신한것만으로 쫓겨난것은 아닌데요 여러가지의 패륜정치를 일삼았던 것이 쫒겨나게된 주요한 원인이 되었습니다. 광해군은 임해군과 영창대군을 살해하는등 갖가지의 패륜행위를 저질렀습니다. 결국 인조반정을 서인세력에 의하여 광해군은 축출이 되게 됩니다. 광해군의 축출과 함꼐 광해군을 보좌하던 북인세력도 몰락을 하게 됩니다 광해군이 쫓겨난 인조반정이 일어난 이유 5가지한국 역사에서 쿠데타로 인해 왕권을 차지한 것에 대해 반란이라고 규정하지 않고 반정이라고 규정한다고 합니다. 반정이라는 뜻은 반란을 통해 나라를 안정시켰다는 뜻이라고 하는데요. 성군이었지만 폭군으로 평가받는 광해군이 쫓겨난 인조반정이 왜 일어났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광해군이 쫓겨난 인조반정이 일어난 이유 5가지 광해군의 친 청나.. 2017. 3.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