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7480 산비둘기 권정생이 지은 현대시인 산비둘기를 소개 합니다. 산비둘기 권정생 해가 뜨면 나도 한 마리 산비둘기 잎 핀 가지 끝에 노래합니다 꽃 속에서 빗 속에서 바람 속에서 해가 지면 비둘기도 날아갑니다 해님 따라 산 너머로 날아갑니다 https://youtu.be/Ty2ZD9aBW6o 권정생이 지은 현대시인 산비둘기를 영어로 소개 합니다 when the sun rises me too one animal eastern ringdove at the tips of leaf pin branches sing in the flowers in the rain in the wind when the sun goes down Pigeon too fly away follow the sun over th.. 2023. 3. 19. 우리나라의 인공호수 인공호수가 많은 우리나라 호수는 땅이 우묵하게 들어가 물이 괴어 있는 곳으로 못이나 늪보다 훨씬 넓고 깊은 곳으로 정의가 되어집니다 우리나라는 천연호수는 거의 없는 반면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인공호수들은 매우 많습니다. 장진호 우리나라의 천연호수 우리나라의 천연호수를 들자면 북한의 함경도 지역에 있는 장진호를 들 수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천연호수인 장진호 주변에서는 한국전쟁 당시 미군과 공산군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는 인공호수는 댐을 막으면서 형성된 호수와 규모가 매우 큰 저수지를 꼽을 수가 있습니다. 규모가 매우 큰 저수지로는 김제의 벽골제를 비롯하여 충청북도 제천에 있는 의림지, 상주의 공검지, 밀양의 수산제등을 들 수가 있습니다. 호남지방은 김제의 벽골제 이남지역을 말.. 2023. 3. 19. 원나라 간섭기의 고려왕 원나라 간섭기의 고려왕은 충렬왕부터 시작을 하는데요 원나라 간섭기의 고려왕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나라 간섭기의 고려왕은 원나라에 충성을 한다는 의민에서 충자를 붙였는데요 원나라 간섭기의 고려왕은 충렬왕과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충정왕입니다. 25 충렬왕 26 충선왕 27 충숙왕 28 충혜왕 29 충목왕 30 충정왕 ●25대 충렬왕 원나라 간섭기의 첫 왕인 충렬왕은 고려의 왕이었으나 원나라의 사위로 살았던 왕입니다. 원나라 간섭기 최초의 왕인 충렬왕은 어린시절을 원나라에서 보냈던 인물입니다. 고려는 원나라 간섭기인 충렬왕때부터 묘호를 사용하지 못하게 됩니다. 원나라 간섭기의 첫 왕인 충렬왕의 아들인 충선왕은 우리나라 최초의 혼혈왕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충렬왕의 아들인 충선왕 --- 우리나라 최초의.. 2023. 3. 18. 동남아시아의 지형과 주요도시 동남아시아에 위치하고 있는 반도로는 인도차이나 반도와 말레이 반도가 있습니다. 인도차이나 반도는 베트남과 라오스, 캄보디아를 포함하는 지역이고요 말레이반도에는 타이의 일부지역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섬나라로는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이 있는데요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섬나라라고 할 수가 있고요 필리핀은 루손섬과 민다나오섬을 비롯하여 7000여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입니다.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섬나라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과 뉴기니섬, 자바섬, 셀레베즈섬등으로 이루어진 세계 최대의 섬나라 필리핀 루손섬과 민다나오섬을 비롯하여 7000여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 동남아시아의 주요 하천으로는 티벳고원에서 시작하여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거쳐 베트남의 남부지역으로 흐르는 메콩강.. 2023. 3. 16. ‘제천 의림지’ 충청북도 제천에 있는 ‘제천 의림지’는 삼한 시대 축조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지입니다. 삼한 시대 축조된 오래된 저수지로는 의림지 외에 김제의 벽골제와 상주의 공검지, 밀양의 수산제가 있습니다. 삼한 시대 축조된 저수지 제천 의림지 김제의 벽골제 상주의 공검지 밀양의 수산제 의림지의 정확한 축조 연대는 확실치 않다. 다만 삼한시대에 축조되었다는 설도 있고, 신라 진흥왕 때 악성 우륵이 개울물을 막아 둑을 쌓아서 만들었다고도 합니다. 의림지의 둑에는 노송과 수양버들, 30m의 자연 폭포 등이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고 있는데, 이곳을 제림이고 합니다. 의림지의 축조 연대 삼한시대에 축조되었다는 설 신라 진흥왕 때 악성 우륵이 개울물을 막아 둑을 쌓아서 만들었다는 설 ●관광지로 각광받는 의림지 의림지는 제.. 2023. 3. 15. 경상북도 군위 경상북도 군위는 대구의 북쪽에 있는데요 군위에 있는 사찰인 인각사는 일연이 삼국유사를 완성한 곳입니다. 군위에 있는 사찰인 인각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절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군위는 삼국유사의 고장으로 불리는 데요 2023년 7월부로 행정구역이 경상북도에서 대구광역시 소속으로 바뀌게 됩니다. 군위에 있는 사찰인 인각사 일연이 삼국유사를 완성한 곳 일연이 삼국유사를 완성한 곳인 군위는 삼국유사의 고장으로 불리는데요 현재 군위에는 삼국유사 도서관도 있습니다.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는 군위에 의하여 새롭게 조명이 된다고 하겠습니다. 일연이 삼국유사를 완성한 곳인 군위는 삼국유사를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에 등재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상주목에 속해 있었던 군위 경상북도 군위는 고.. 2023. 3. 15. 최치원과 김생 신라시대 최고의 문장가로는 최치원을 들수가 있고요 신라시대 최고의 서예가는 김생을 들수가 있습니다. 김생의 글씨는 마치 왕희지의 글씨를 연상하게 한다고 하였습니다. 김생은 고려시대 유신 탄연 최우와 함께 신품4현으로 꼽히는 인물입니다. 서거정이 지은 필원잡기에는 최치원, 김생과 관련한 기록이 잘 나와 있습니다. ●필원잡기의 최치원과 관련한 기록 필원잡기에는 신라시대의 문장가인 최치원과 관련하여서 많이 기록 하였습니다. 필원잡기의 최치원과 관련한 기록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이 당 나라에 들어가서 과거에 급제하고, 고병(高騈)의 종사관이 되어 황소(黃巢)를 토벌하였다. 그 격문(檄文 편지)에 이르기를, “천하의 사람이 모두 드러내어 죽이기를 원할 뿐만 아니라, 또한 땅속의 .. 2023. 3. 8. 고구려의 2대왕인 유리왕과 황조가 고구려의 2대왕인 유리왕은 왕비 송씨가 죽은 후에 두 희(姬)에게 장가들었는요 두희의 이름은 화희와 치희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동국통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을 하였습니다. 고구려 왕비 송씨(松氏)가 훙(薨)하였다. 왕이 다시 두 희(姬)에게 장가들었는데, 화희(禾姬)는 골천인(鶻川人)이고 치희(雉姬)는 한인(漢人)이었다. 두 희가 총애를 받으려고 다투므로, 왕이 동서(東西)에 두 궁(宮)을 짓고 그들을 있게 하였는데 , 뒤에 왕이 사냥 나가서 7일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자, 두 여인이 서로 질투하다가 화희가 치희를 꾸짖어 말하기를, “한가(漢家)의 비녀(婢女)가 어찌 무례함이 심한가?”하니, 치희가 부끄러워 한탄하며 도망하여 돌아갔는데, 왕이 친히 그를 뒤따라갔으나 치희는 돌아오지 않았다. 황조가와 관련.. 2023. 3. 6. 신민요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신민요가 나오는 데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신민요를 부른 가수로는 김부자와 김세레나, 하춘화가 있습니다. 김부자는 황해도 신장에서 태어났는데요 신민요를 부른 가수로 유명합니다. 김부자는 강화아가씨, 떠나갑니다를 발표하며 데뷔를 했는데요 영화 주제가 팔도기생은 김부자의 첫 히트곡입니다. 강화아가씨, 떠나갑니다를 발표하며 데뷔를 했던 김부자는 김세레나와 함께 신민요 붐을 일으킨 대표적인 가수 입니다. 김부자는 월남전 때는 파월 장병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가수였고요 1970년에 MBC 10대 가수로 선정이 되었습니다. 김세레나가 부른 신민요에는 새타령이 있습니다 https://youtu.be/4IRjyitzSsw 새타령의 가사 새가 날아든다 왼갖 잡새가 날아든다 새 중에는.. 2023. 3. 6. 고려시대의 노래인 고려가요 고려시대의 노래인 고려가요는 장가나 고려속요 등으로도 불리는 데요 오랜기간동안 구전이 되어 오다 이후에 악장가사나 악학궤범, 시용향악보등에 실렸습니다. 고려가요가 기록된 곳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오랜기간 동안 일반인들의 생활속에서 구전이 되어 오다 조선시대에 기록이 되었기 때문에 고려가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문학인 구비문학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고려가요는 서정적인 인간의 감정을 노래한 경우가 많은데요 남녀간의 강렬한 애정을 노래한 고려가요의 경우에는 조선시대에 성리학자들로부터 남녀상열지사라는 비난을 받았습니다. 남녀상열지사라는 비난을 받았던 작품 조선시대에 성리학자들로부터 남녀상열지사라는 비난을 받았던 작품으로는 ᄊᆞᆼ화점이나 이상곡, 만전춘등이 있습니다. 이상곡은 남편을 잃은 여인의 .. 2022. 11. 13.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74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