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군위는 대구의 북쪽에 있는데요 군위에 있는 사찰인 인각사는 일연이 삼국유사를 완성한 곳입니다.
군위에 있는 사찰인 인각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절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군위는 삼국유사의 고장으로 불리는 데요 2023년 7월부로 행정구역이 경상북도에서 대구광역시 소속으로 바뀌게 됩니다.
군위에 있는 사찰인 인각사 |
일연이 삼국유사를 완성한 곳 |
일연이 삼국유사를 완성한 곳인 군위는 삼국유사의 고장으로 불리는데요 현재 군위에는 삼국유사 도서관도 있습니다.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는 군위에 의하여 새롭게 조명이 된다고 하겠습니다.
일연이 삼국유사를 완성한 곳인 군위는 삼국유사를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에 등재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상주목에 속해 있었던 군위
경상북도 군위는 고려시대에는 상주목에 속해 있었습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상주목에 속해 있엇던 군위현(軍威縣)에 대하여 다음과 같기 기록을 하였습니다.
본디 노동멱현(奴同覓縣)인데, 경덕왕이 지금의 이름으로 고치고, 효령현(孝寧縣)은 본디 모혜현(芼兮縣)인데, 경덕왕이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모두 숭선군(崇善郡)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 현종 9년 무오에 모두 상주(尙州) 임내(任內)에 붙였다가,
인종(仁宗) 21년 계해에 도로 일선현(一善縣) 임내(任內)로 붙이고, 공양왕 2년 경오에 비로소 군위 감무(軍威監務)를 두고 효령현(孝靈縣)을 겸임하게 하였는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가, 태종 13년 계사에 예(例)에 의하여 현감(縣監)으로 고쳤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의성(義城)에 이르기 5리, 서쪽으로 선산(善山)에 이르기 16리, 남쪽으로 의흥(義興)에 이르기 32리, 북쪽으로 비안(比安)에 이르기 14리이다.
본현(本縣)의 호수는 2백 84호, 인구가 6백 77명이요, 효령(孝靈)의 호수는 1백 6호, 인구가 3백 75명이며, 군정(軍丁)은 시위군(侍衛軍)이 19명, 진군(鎭軍)이 37명, 선군(船軍)이 88명이다.
본현(本縣)의 토성(土姓)이 5이니, 박(朴)·나(羅)·방(方)·오(吳)·서(徐)이요, 효령(孝靈)의 성이 2이니, 유(劉)·사공(司空)이며, 내성(來姓)이 3이니, 박(朴)·김(金)·손(孫)이요, 망성(亡姓)이 2이니, 도(陶)·택(澤)이며, 속성(續姓)이 2이니, 변(卞)·탁(卓)이다.
땅이 메마르고, 기후는 따뜻하며, 간전(墾田)이 2천 2백 8결이다. 【논이 3분의 1이 못된다. 】 토의(土宜)는 벼·조·기장·피·콩이요, 토공(土貢)은 여우가죽·삵가죽·노루가죽이며, 약재(藥材)는 백복령·당귀이요, 토산(土産)은 송이버섯·느타리[眞茸]이다. 자기소(磁器所)가 1이니, 현(縣) 서쪽 백현리(白峴里)에 있고, 【중품이다. 】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현 남쪽 퇴현동(槌峴洞)에 있다. 【하품이다. 】 역(驛)이 1이니, 소계(召溪) 【효령(孝靈)에 있다. 】 이요, 봉화가 2곳이니, 마정산(馬井山)은 현 동남쪽에 있다. 【남쪽으로는 효령 박달산(朴達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비안(比安) 간점(肝岾)에 응한다. 】 박달산(朴達山) 【남쪽으로 부계(缶溪) 토현(吐峴)에 응하고, 북쪽으로 본현(本縣) 마정산(馬井山)에 응한다. 】
군위의 토성(土姓)은 박(朴)·나(羅)·방(方)·오(吳)·서(徐)라고 하였고요 효령(孝靈)의 성은 유(劉)·사공(司空)이라고 하였습니다.
군위의 토성(土姓) |
박(朴)·나(羅)·방(方)·오(吳)·서(徐) |
-----------------------------------------------
♣고려시대 군위의 사방 경계
동쪽으로 의성(義城)에 이르기 5리,
서쪽으로 선산(善山)에 이르기 16리,
남쪽으로 의흥(義興)에 이르기 32리,
북쪽으로 비안(比安)에 이르기 14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