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조선

청자 철채 퇴화 잎무늬 매병

by 산골지기 2023. 8. 10.
728x90

청자 태토로 매병 형태를 만든 후 철화(鐵畫) 안료를 칠하고, 다시 몸체 양면에 잎 무늬 부분만을 얇게 파낸 뒤 그 위에 백토(白土)를 바르고 청자유약을 입혀 구운 작품이다.

이처럼 여러 번 공정을 거치는 철채(鐵彩) 상감기법은 12세기 전반기부터 나타나고 있으나 그 예가 매우 드물다.

소담스러운 어깨의 곡선은 매우 유려하고 몸체에 그려진 잎 무늬에는 백토를 바른 붓질이 잎맥처럼 자연스럽게 남아 있다. 대담하게 내리그은 백색의 줄기 끝 부분과 철채한 흑색의 대조 또한 절묘하다.

흑(黑)과 백(白)의 대비와 소박한 잎 무늬의 표현, 백토를 바른 붓질에 운치가 배어난다. 굽 접지면에 내화토를 받쳐 구웠다. 이와 유사한 파편들이 강진 대구면 사당리 가마터에서 발견되었다.

출처; 국립중앙 박물관

'우리 역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대왕  (0) 2024.04.21
조선시대 천문학  (0) 2023.11.16
반정으로 물러난 왕  (0) 2023.07.30
조선의 태종  (0) 2023.07.30
조선시대의 악장과 시조  (0) 2023.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