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호미곶은 16세기 조선 명종 때 풍수지리학자인 남사고(南師古)가 『산수비경(山水秘境)』에서 한반도는 백두산 호랑이가 앞발로 연해주를 할퀴는 형상으로 기술하였고, 백두산은 호랑이 코, 호미곶은 호랑이 꼬리에 해당한다고 설명하였다.
김정호(金正浩)는 대동여지도를 만들면서 국토 최동단을 측정하기 위해 영일만 호미곶을 일곱 번이나 답사 측정한 뒤 우리나라에서 가장 동쪽임을 확인하여, 호랑이 꼬리 부분이라고 기록하였다. 일명 동외곶(冬外串)이라고도 한다.
호미곶 일대는 공개산(214.6m)과
동북쪽의 우물재산(180.1m)을
비롯한 180∼200m의 산지가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연이어 분포하고 있다.
하천은 이들 능선에서 발원하여
영일만과 동해로 유입한다.
호미곶에서 구룡포에 이르는 지역에는 평균 길이 12㎞, 평균 폭이 0.8㎞에 달하는 해안단구(海岸段丘, coastal terrace)가 발달되어 있다.
해발고도 20∼40m와 5∼20m에 이르는 2개의 단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안단구는 융기해안의 보편적인 지형으로 우리나라의 동해안에 여러 단씩 발달되어 있다.
728x90
반응형
'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룡포 지명 (0) | 2015.10.25 |
---|---|
구룡포 (0) | 2015.10.24 |
구룡포 (0) | 2015.10.23 |
구룡포항 옆에 조성되어 있는 근대역사문화거리 (0) | 2015.10.22 |
제주도에 모두 322개소의 습지 (0) | 2015.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