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장소106

사천 광포만 갯벌 해수부는 경상남도 사천의 광포만 3.46㎢를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 사천 광포만 갯벌은 국내 최대의 갯잔디 군락의 보고인데요 해양보호생물인 흰발농개·갯게·대추귀고둥뿐만 아니라 법정보호종인 검은머리갈매기·알락꼬리마도요·저어새·노랑부리백로가 서식하고 있습니다 해수부는 해양보호생물인 흰발농개·갯게·대추귀고둥뿐만 아니라 법정보호종인 검은머리갈매기·알락꼬리마도요·저어새·노랑부리백로가 서식하고 있는 것을 인정해 광포만 3.46㎢를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 경상남도의 해양보호구역은 창원 봉암갯벌 습지보호지역, 통영 선촌마을 해양생태계보호구역, 고성 하이면 해양생물보호구역을 포함해 네 곳으로 늘었습니다. 경상남도의 해양보호구역 창원 봉암갯벌 습지보호지역 통영 선촌마을 해양생태계보호구역 고성 하이면 해양생물보.. 2023. 10. 24.
장도 습지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있는 장도는 목포에서 남서쪽으로 110km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데요 총면적 1.570km2, 해안선 길이 11km입니다 그리고 장도의 인구는 101명이고 현재 49세대가 살고 있습니다.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뻗은 모양이 길어서 긴 섬, 두 개의 섬이 동서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어서 장도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장도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인구 101명 목포에서 남서쪽으로 110km 떨어진 거리에 위치 두 개의 섬이 동서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음 큰 섬이 대장도, 작은 섬이 소장도인데요 하루에 두 번 간조 때가 되면 바닷물이 빠지면서 두 섬이 연결이 됩니다. 소장도에 두 가구가 살았으나 지금은 모두 대장도로 넘어와 무인도가 됐기 때문에 소장도에는 사람이 없습니다. 대장도 .. 2023. 9. 28.
오대산국립공원습지와 물장오리오름습지, 강화 매화마름군락지 2008년에 등록된 람사르 습지에는 오대산국립공원습지와 물장오리오름습지, 강화 매화마름군락지가 있습니다. 2008년에 등록된 람사르 습지 오대산국립공원습지 강화 매화마름군락지 물장오리오름습지 강화 매화마름군락지는 논습지로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람사르 습지에 등록이 되었습니다. 강화 매화마름군락지 논습지로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람사르 습지에 등록 ●강화 매화마름군락지 강화 매화마름군락지는 2008년 10월 13일에 오대산국립공원습지, 물장오리오름습지와 함께 람사르습지에 등록되었습니다. 강화 매화마름군락지는 논습지로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등록되었는데요 매화마름군락지 주변은 대부분 농지입니다. 이 지역에는 친환경농법으로 농사를 짓고 있습니다. 매화마름군락은 1998년에 처음발견이 되었고요 한국내셔널.. 2023. 4. 4.
동양 최대 동백 수목원인 ‘제주 카멜리아힐’ 동양 최대 동백 수목원인 ‘제주 카멜리아힐’에는 500여 종 6000여 그루의 동백이 있습니다. 동백나무는 사철 푸른 잎을 자랑하는 상록교목인데요 겨울의 기온이 온난한 제주 곳곳에서 겨울에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겨울 제주을 상징하는 식물이라고도 할 수가 있는 동백은 곳곳에 동백 군락지가 많이 있습니다. 제주의 동백 군락지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큰 곳이 카멜리아 힐인데요 카멜리아 힐은 영어로 ‘동백 언덕’이란 뜻입니다. 동양 최대의 동백 수목원인 카멜리아 힐은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상창리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곳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동백꽃을 비롯하여 가장 일찍 피는 동백꽃, 향기를 내는 동백꽃 등 전 세계 80개국의 동백나무 500여 종 6000여 그루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습니다. 카멜리아 힐의.. 2022. 2.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