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근현대사

신문의 시초 독립신문

by 산골지기 2015. 6. 30.
728x90

《독립신문》은 국민의 권리와 의무가 무엇인가를 가르쳐 주었다.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며 관리는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존재라고 알려주었다.

 

관존민비의 봉건적인 전제군주 치하에 억눌려 살던 국민들로서는 처음으로 깨닫는 새로운 사실이었다.

독자들은 이 신문에 실린 사설과 기사를 통해 국가의 안위가 위태로웠던 당시의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치가 어떠한가를 가늠할 수 있었다. 열강 여러 나라들이 국가의 이권을 탈취한다는 사실을 폭로하고 저항하여 국가의 이익을 수호하도록 했다.

《독립신문》은 한글을 전용하여 누구나 읽기 쉽도록 만들었다. 배우기 쉽고 쓰기 편한 한글 전용의 신문을 제작하여 한글을 일상적인 공용문자로 격상시켰으며, 그 후에 창간되는 한말의 다른 민간 신문이 한글을 사용하게 된 것도 독립신문의 선구적인 한글 전용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이 신문의 교보원( : 오늘의 편집기자 겸 교열기자)이었던 주시경은 신문사 안에 국문동식회( : 한글 연구를 목적으로 만든 최초의 국어연구회)를 만들어 국어연구에 전념하기 시작했고, 이 신문은 정부와 국민들이 한글을 공용문자로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독립신문》은 구독료를 싸게 하여 상하귀천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했다. 1897년 1월부터는 한글판과 영문판을 분리하면서 한글판은 동전 2푼(2전), 월 25전, 연 2원 60전을 받는 반면에, 영문판은 1장당 동전 5푼(5전), 월 75전, 연 6원으로 올렸다.

 

영문판의 구독료를 한글판보다 2배 이상 3배씩이나 비싸게 책정한 것은 경제사정이 어려운 한국인들에게 신문 구독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어 많은 사람이 읽도록 하려는 배려였다.

《독립신문》은 광고의 중요성을 입증했다. 《한성주보》에는 몇 건의 광고가 등장했으나 광고료를 받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독립신문》은 광고를 게재하여

신문 경영에 중요한 수입원으로 삼아서

 신문이 독립 사업으로 운영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기 때문에

그 이후에 창간되는 민간 신문에서 이와 같은

경영방법을 채택했다.

 

독립신문 이후에 여러 민간 신문이 나타나게 된 것도 구독료와 광고료만으로 외부의 보조 없이 신문을 운영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했기 때문이었다.

728x90
반응형

'우리 역사 > 근현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랜튼의 내한  (0) 2015.07.20
투쟁기의 신문  (0) 2015.06.30
광복후 신문  (0) 2015.06.22
동아일보  (0) 2015.06.19
자유기(1960~61)  (0) 2015.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