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투데이/경제188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한국과 러시아는 지난해 11월 방한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 간 정상회담에서 나진-하산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들이 참여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TSR과 한반도종단철도(TKR) 연결이란 장기 프로젝트의 시범 사업이자 한국 정부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을 실현하는 첫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사업은 우리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한국은 북한과 함께 나진-하산 프로젝트를 먼저 시작한 러시아 측의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이 사업에 간접적으로 참여를 하고 있다. 이 사업을 추진하는 회사는 라손콘트라스사 인데 러시아 철도공사와 북한 나진항은 나진-하산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지난 2008년 7대 3의 지분 구조로 설립된 합작회사이다. 러시아 측은 하산과 북한.. 2015. 2. 19.
나진 하산 지역 2013년 러시아가 정비한 나진-하산 간 54㎞ 구간은 부산을 출발해 북한을 관통하는 한반도종단열차(TKR)가 시베리아횡단철도(TSR·9297㎞)와 연결되는 핵심 루트이다. 중국횡단철도(TCR)와도 연결될 수 있다. 한반도 물류가 러시아와 유럽으로 바로 연결된다는 의미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나진·하산 프로젝트가 유럽과 아시아를 연계하는 경제협력 체제에서 한국이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출발점으로 작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론적으로만 보면 남북 간 철도는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부산에서 출발해 나진으로 올라가서 러시아 하산을 거쳐 모스크바까지 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노후한 북한 철도를 어떻게 보수하느냐가 새로운 관건이 되고 있다 . 나진항은 이미 중국과 러시아 간의 .. 2015. 2. 19.
서원 1552년(명종 7)에 창건되었으며, 정여창의 위패를 모신 서원인데 1566년에 명종으로부터 사액을 받았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었으나 1603년 나촌(羅村)으로 옮겨 복원했다가, 1612년 옛터인 원래의 자리에 다시 복원을했다. 조선 후기인 숙종 때에는 강익과 정온을 추가 배향했다. 소수서원에 이어 2번째로 창건된 서원인데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남아 있을 정도로 유명한 서원이다. 2015. 1. 6.
석유와 산업 2015. 1. 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