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재생공급인증서(REC) 기준 가격 상한선을 태양광 판매사업자 선정가격으로 삼기로 하는 등 어느 때보다 REC 가격에 관심이 쏠리는 한 해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그동안 태양광은 상대적으로 높은 발전단가로 시장 보호를 위한 별도 의무량을 부과했다.
의무량·REC 현물거래 시장, 의무이행에 따른 비용정산 가격 등 시장이 별도로 분리돼 운영됐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모두 태양광·비태양광 구분 없이 단일시장·동일 조건으로 거래된다.
업계 눈은 REC 기준가격에 쏠렸다. 정부가 정하는 기준가격은 RPS 의무 대상 발전사가 투자한 REC 확보 비용을 보전 받을 때 쓰이는 근거로 사업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정부가 REC 기준가격 가이드라인으로 태양광 판매사업자 선정 가격을 택한 것이 변수다. 태양광 판매사업자 선정 가격은 신재생 REC 가격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에 형성된다.
정부는 판매사업자 가격이 REC 수급을
반영한 실제 시장가격으로 판단하고 있다.
문제는 지난 5월에 열린 상반기 태양광 판매사업자 선정 가격이 급락했다는 데 있다.
상반기 태양광 판매사업자 선정 결과 REC 평균가격은 7만707원이었다. 지난해 상반기 입찰가격보다 4만1884원이나 하락했다.
경쟁률은 역대 최고인 11.2 대 1에 달했다. 신재생업계는 상반기 판매사업자 선정가격이 지나치게 낮아 향후 사업성이 악화될 것을 우려했다.
정부 계획대로 REC 기준가격 상한선을 태양광 판매 사업자 가격으로 삼으면 SMP+REC 기준가격(원/㎾h)은 올해 상반기 기준 165원이다.
지난 2012년 193원, 2013년 209원, 지난해 204원과 비교하면 20%가량 떨어졌다.
전력기준가격(SMP)이 지난해 ㎾h당 142원에서 올해 상반기 95원으로 떨어졌고 판매사업자 선정 REC도 급락했기 때문이다.
'투데이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을 위한 자원개발 (0) | 2015.11.02 |
---|---|
북방경제 핵심은 북극항로 (0) | 2015.11.01 |
부자를 위한 습관 (0) | 2015.10.22 |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부족한 경험과 기술 보완 (0) | 2015.10.20 |
해외자원 개발과 정부의 지원은 계속되어야 한다. (0) | 2015.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