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

우리나라의 근대사건

by 산골지기 2014. 2. 11.
728x90

구식군인들이 반란을 일으키다.

 

조선 말엽에 있었던 주요한 근대적인 사건을 보면 먼저 1882년에 일어난 임오군란을 들수가 있다.

임오군란은 구식군인들이 자신들에 대한 차별대우에 반발하면서 일어난 운동이었는데 당시 물러나 있던 대원군을 추대하면서 나름대로 세력회복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청나라 군대가 개입하여 대원군을 청으로 납치해 가면서 임오군란은 진압이 되게 된다.

임오군란 당시에 별기군의 일본인 교관이 살해가 되었으며 일본 공사관이 피해를 입기도 했다.

일본은 임오군란이 진압된 이후 조선과 제물포 조약을 체결하였는데 제물포 조약에서는 일본의 피해에 대해서 배상금을 요구하면서 조선을 압박 하였다.

임오군란은 조선말엽에 있었던 최초의 근대적 사건이었다고 할수가 있다.

 

근대화 시기에 근대적인 개혁을 일으키다.

 

아시아의 근대화 시기에 근대적인 개혁을 가장 성공적으로 이룩한 나라는 일본이었다.

일본은 미국의 페리 제독에 의하여 강제로 개항이 된 이후 메이지 유신을 통하여 근대적인 개혁을 하였는데 근대적인 개혁은 다른 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에 까지 확대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근대적인 개혁은 1894년에 일어난 갑오개혁이었는데 당시 개혁 추진기구인 군국기무처를 설치하여 수많은 근대적인 안건들을 처리하였다.

갑오개혁은 크게 3차례에 걸쳐서 이루어졌는데 가장 먼저 이루어진 1차 갑오개혁에서는 동학농민군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후 1894년 년말에 김홍집과 박영효등이 홍범 14조와 교육입국조서등을 발표 하면서 2차 갑오개혁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후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이 있은 이후에 이루어진 개혁을 3차 갑오개혁이라고 하는데 이때에는 태양력을 실시하고 근대적인 우편제도를 실시하는등의 개혁을 추진하였다.

 

동학농민운동에서 개혁안을 제시하다.

 

1894년에 발생한 동학농민운동에서는 여러가지의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동학농민운동은 우리나라 역사상 초대 규모의 민중운동으로 평가가 되고 있는데 당시 다양한 개혁안을 제시하면서 정부의 개혁을 자극하기도 하였다.

동학농민군이 제시한 개혁은 갑오개혁에 많이 반영이 되기도 하였다.

동학 농민군이 제시한 폐정 개혁안 12개조를 보기로 하면 일본의 침략에 저항하고 근대적인 개혁을 요구하는 내용들이 많았다.

노비문서를 불태우면서 신분의 해방을 주장하고 젊은 과부의 재혼을 허락하기도 하였다.

또 문벌을 타파하고 인재를 등용하도록 하였으며 토지를 골고루 나누어 경작한다는 내용까지 포함을 하고 있다.

 

 

신간회가 결성되는데 중요한 역할을한 선언은 정우회 선언이다.

정우회 선언은 사회주의 단체인 정우회가 발표한 선언인데 정우회가 사회주의 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밝힌 선언이라고 할수가 있다.

정우회 선언을 통하여 정우회는 비타협적인 민족주의 단체와 협력할 의사가 있음을 밝혔는데 이것은 이후 신간회의 결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정우회 선언을 계기로 하여 결성된 신간회는 강령을 발표하기도 했는데 신간회 강령의 중요한 내용을 보면 우리는 정치적, 경제적인 각성을 촉구하고 단결을 공고히 할것을 중요시 하고 있다. 또 기회주의를 부인할 것도 강조를 하고 있다.

 

독립운동 단체의 통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다.

 

1920년에는 민족운동의 여러단체를 통합하자는 민족유일당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당시 민족주의 계열의 일부단체가 일본을 인정하고 조선인의 자치론을 전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자고 주장을 하는 타협적 민족주의가 나타나자 여기에 반대하는 비타협적인 민족주의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연합하여 민족유일당 운동을 전개하였다.

민족유일당 운동이 탄력을 받게 되는 계기가 된 사건이 1926년 11월에 나온 정우회 선언이었다.

사회주의 단체인 정우회가 밝힌 정우회 선언은 좌우 합작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러한 좌우 합작운동에 의하여 탄생된 단체가 1927년에 설립된 신간회 이다.

 

신간회는 한국어 교육과 학문 연구의 자유를 주장하면서 광주학생운동을 지원 하기도 하였다. 

728x90
반응형

'우리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교대장 발견  (0) 2014.06.08
고려의 지방 정비  (0) 2014.02.26
전봉준과 김개남  (0) 2014.02.11
대한광복군 정부와 이상설  (0) 2014.02.11
신라의 하대  (0) 2014.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