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수평 기둥인 보(beam) 없이
기둥이 위층 구조인 슬래브(slab)를 지탱하도록 만든 건물 구조다.
벽식 구조와 비교했을 때 시공 기간이 길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나
, 내구성이 뛰어나며 층간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무량판 구조는 하중을 지탱하는 수평 기둥인 보(beam,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여 슬래브의 무게를 지지해주는 건축 구조물) 없이 위층 수평 구조인 슬래브(slab,철근콘크리트구조의 바닥)를 기둥이 지탱하도록 이루어진 건물 구조를 말한다.
무량판 구조는 대들보 자재 두께만큼의 높이를 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층고가 높고 내력벽이 없어 공간 효율성이 높은 등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2017년부터 아파트 공사 등에 본격적으로 도입됐다.
무량판 구조의 경우 기둥과 맞닿는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슬래브가 뚫리는 것을 막기 위해 수직하중을 지지해야 하는 기둥에 보강 철근을 반드시 넣어야 한다.
만약 이러한 보강 철근이 제대로 시공되지 않을 경우
기둥이 슬래브를 뚫는 '펀칭' 현상과 함께 한순간에 무너질 위험성이 있다.
실제로 제대로 시공하지 않은 무량판 구조 건물 사고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가 있는데, 이는 무량판 구조의 약점을 보강하지 않아 발생한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