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나노 산업

by 산골지기 2023. 8. 9.
728x90

 

 

생명공학은 생명현상의 유전형질인 DNA과 세포의 구성성분,

구성물질을 인위적으로 조절·변형함으로써 생물의 양과 질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유용한 생물종을 개발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생물학 · 화학 · 미생물학 · 유전학 · 면역학 · 발생학 · 생화학 · 분자 생물학과 같은

기초 과학에 현대의 여러 가지 공학 기술을 접목한 것을 생명 공학 연구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현대의 첨단 공학이라고 할 수가 있는 생명공학연구는 유용한 점도 많지만

여러 가지의 부작용을 야기 시키기도 하는데요 생명공학연구는 인간의 존엄성 상실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낳고 있습니다.

생명공학은 20세기 이후 큰 발전을 하였는데요 생명 공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은 생물을 마음대로 조작하고, 그동안 신의 영역이라고 여겨졌던 생명의 탄생 부분까지도 관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90년대의 나노기술

1992년에는 나노기술의 이론가인 에릭 드렉슬러가 미국 의원들에게 분자기술에 관심을 가져줄 것으로 호소하면서 발전의 발판을 마련하였습니다.

미국의 나노기술사업
2000년에 국가나노기술계획 발표

미국의 나노기술사업을 보면 미국은 2000년에 국가나노기술계획을 발표하고

국가 차원의 나노과학기술개발을 선포했습니다.

분자기술 대신 나노기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드랙슬러

드랙슬러-----분자기술 대신 나노기술이라는 용어 사용


 

드렉슬러
나노기술 이론가
분자기술 대신 나노기술이라는 용어 사용
나노기술 발전의 발판을 마련

나노기술의 이론가인 드렉슬러는 분자기술 대신 나노기술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나노시대를 열었습니다.

나노기술은 전자와 정보통신은 물론 기계, 화학, 바이오·에너지 등 거의 모든 산업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나노 기술이 발전되면 환경 의료 생명공학 신소재 등에서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됩니다.

미세한 의료용 수술 가위가 등장을 하고 암 종양을 치료하는 초미세 로봇 등이 등장하게 됩니다.

이외에 혈관을 여행하는 미세로봇의 활동도 활발해 지게 됩니다

미국을 비롯하여 독일, 일본 등에서는 1990년대부터 국가적 차원의 연구지원정책을 수립하여

나노산업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활동을 꾀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신기술의 선점을 위한 선진국들의 노력이 속도를 내는 가운데 앞으로

나노산업은 확실한 미래산업으로 자리를 잡게 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나노기술

우리나라는 2000년에 나노기술을 국가 연구과제로 선정했습니다.

나노기술을 국가 연구과제로 선정한 우리나라는

2010년까지 정부와 민간 공동으로 약 14,000억 원을 투입한다

는 내용의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나노기술
2000년에 국가 연구과제로 선정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안'을 발표

 

과학분야는 다루는 부서인 교과부는 글로벌 연구실 종합심포지엄을 열어 그동안 수행해온 나노기술의 결과물을 일반에게 공개하였습니다.

과학 분야를 다루는 교육과학기술부는 앞으로도 나노기술을 꾸준하게 개발한다고 발표를 하였습니다.

반응형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도와 전라도를 연결한 철도  (0) 2024.02.12
R&D  (0) 2023.09.12
가평전투  (0) 2023.05.27
가야와 ‘가야고분군’  (0) 2023.05.11
우크라이나 경제  (0) 2023.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