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관동지방
고려 성종 때 전국을 10도로 편성하였습니다 .
이 과정에서 오늘의 서울·경기 일원을 관내도(關內道)라고 하였는데요
관동이라는 명칭은 관내도의 동쪽에 위치한 땅이라는 의미입니다
관동지방 |
관내도의 동쪽 |
관동 지방은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쪽지방과 서쪽지방으로 나누어지는데요
태백산맥의 서쪽을 영서 지방이라고 하고요 동쪽을 영동 지방이라고 합니다.
관동 지방의 구분 | |
영서 지방 | 태백산맥의 서쪽 |
영동 지방 | 태백산맥의 동쪽 |
●관동지방에 있는 관동팔경
관동지방에 있는 여덟 곳의 명승지를 관동팔경이라고 하는데요
관동팔경에는 통천의 총석정, 고성의 삼일포가 있습니다.
이외에 관동팔경에 속하는 지역에는 간성의 청간정을 비롯하여 양양의 낙산사,
강릉의 경포대, 삼척의 죽서루, 울진의 망양정, 평해의 월송정이 있습니다
관동팔경 |
통천의 총석정 |
고성의 삼일포 |
간성의 청간정 |
양양의 낙산사 |
강릉의 경포대 |
삼척의 죽서루 |
울진의 망양정 |
평해의 월송정 |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에 있는 낙산사는 통일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인데요
의상이 화엄종을 전파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던 곳입니다.
양양의 낙산사는 양양읍에서 북쪽으로 약 7㎞ 떨어진 곳에 있는 사찰인데요
신라시대에 의상이 세웠습니다.
의상이 창건한 낙산사의 주변에 홍련암이 있는데요
홍련암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불교성지입니다.
홍련암 |
낙산사의 주변에 있는 암자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불교성지 |
양양의 낙산사는 신라 문무왕 시기에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된 이후
헌안왕 시기에는 범일국사가 중창을 하였고요 조선 초기 세조연간에도 중창이 되었습니다.
양양의 낙산사 |
신라 문무왕 시기에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 |
헌안왕 시기에는 범일국사가 중창 |
조선 초기 세조연간에 중창 |
화엄종을 전파하는 중요한 역할 |
부속암자 홍련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불교성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