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조선

조선의 신분제도

by 산골지기 2018. 12. 11.
728x90

조선의 신분제도는 양인과 천인으로 구분이 되었고요 다음과 같이 또다시 세분이 되었습니다

양인에는 양반과 중인 상민으로 구분이 되고요 천인은 일반노예와 천민계급을 말합니다


조선 후기에는 상민들이 군역과 요역을 면하기 위하여 공명첩 구입, 납속, 족보 매매·위조 등의 방법으로 양반의 신분을 얻었는데요  그 결과 상민의 수가 크게 줄고 양반의 수가 증가하면서, 신분제가 동요되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향전은 조선 후기 향권 장악을 위해 기존 사족(구향)과 신흥 부농층(신향)이 대립한 것을 말한다.

 

사족 중심의 향촌 지배 질서가 무너지고 지방관의 통제가 강화되던

 

18세기 이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노비의 신분 상승

 ⑴ 신분 상승 방법 : 군공, 납속, 도망을 통해 신분 상승
 ⑵ 정부 정책의 변화 : 부족해진 군역 대상자 확보, 국가 재정 보충 목적
  ① 노비종모법 시행(영조) : 어머니가 노비인 경우에만 자식을 노비로 인정
  ② 공노비 해방(순조) : 중앙 관서의 노비 해방

 

 


 

'우리 역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명학파와 위정척사  (0) 2019.01.14
공납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서 실시된 제도  (0) 2018.12.25
광해군의 중립 외교  (0) 2018.12.07
조선의 건국과정과 주체 세력  (0) 2018.11.20
과전법  (0) 2018.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