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조선건국에 협력지 않고 협조하지 않은 사대부로는 정몽주를 비롯하 온건 사대부를 들수가 있습니다.
정몽주는 조선건국에 끝까지 협조를 하지 않다고 결국 선죽교에서 이방원이 보낸 자객에게 암살이 되게 됩니다
지금도 개경에는 정몽주를 모신 사당들이 많이 있습니다. 정몽주는 고려에 대한 충절을 표현하면서 단심가가라는 시조를 지었습니다
단심가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이시랴"
이방원은 정몽주가 고려를 무너뜨리고 새 왕조를 세우는 일에 가담할 뜻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하여가〉를 지어 그의 마음을 떠보았다.
이방원이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백년까지 누리리라"고 유혹했으나
정몽주는 "이몸이 죽고 죽어 일백번 고쳐 죽어/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이시랴"라고 받아치며 유혹을 뿌리쳤다 한다.
절박한 상황에서도 다양하고 묘미있는 표현을 보여준 작품이다.
이 노래는 조선의 개국과정에서 반대파의 주장을 대변했으나, 개국 후에는 신하의 충성심을 나타내는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사회개혁보다는 질서유지가 더 중요하다는 쪽으로 노선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포은집〉·〈해동악부〉 등에는 한역시가 실려 있으며,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의 각 이본 및 그밖의 많은 책에 실려 있다
'우리 역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전기와 후기의 문학 (0) | 2018.10.05 |
---|---|
붕당의 형성 (0) | 2018.10.03 |
조선시대 역사 (0) | 2018.10.01 |
함경도에 6진 설치 (0) | 2018.09.30 |
4군의 설치 (0) | 2018.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