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역사/조선

함경도에 6진 설치

by 산골지기 2018. 9. 30.
728x90

함경도의 경우는 일찍부터 국경선 방어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본래 고려 말 쌍성총관부의 회복과 이성계의 영향력 등으로 말미암아 조선 초에 이미 두만강 유역은 상류부터 하류에 이르기까지 조선의 국경에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태종대 여진들의 잦은 약탈에 따라 방어선이 남쪽으로 후퇴한 상태였고, 방어선 역시 두만강 유역보다 아래에 구축되어 있는 실정이었다.


그런데 1432년(세종 14년) 여진족의 일족인 우디케족이 다른 여진 일족인 오도리족을 습격하여 그 추장인 동맹가첩목아를 살해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동맹가첩목아는 조선 초부터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였던 여진 추장으로, 현재 회령지방을 중심으로 근거지를 이루고 있었으며 명으로부터도 작위를 받아 건주좌위(建州左衛)의 수장으로 임명된 거물이었다.

 

동맹가첩목아의 죽음은 조선에서뿐만 아니라 명에서도 그 사건의 진위를 파악하고 주모자인 양목답올의 자수를 종용할 만큼 중대한 사안이었다. 

 
세종은 동맹가첩목아의 죽음과 여진 부족간의 대립을 틈타 그간 위축되었던 국경선을 회복하기로 결정하고 이 지역에 새로운 군현들을 신설하여 방어 기지를 구축하였는데, 그것이 종성도호부(鍾城都護府), 온성도호부(穩城都護府), 회령, 경원도호부(慶源都護府), 경흥도호부(慶興都護府), 부령도호부(富寧都護府)의 여섯 도호부, 즉 6진이었다. 세종은 김종서를 함길도도절제사로 임명하여 6진 개척의 총책임을 맡기고 이징옥(李澄玉)을 병마절제사로 파견하여 업무를 보좌하게끔 하였다.

 

6진 중 가장 먼저 설치된 곳은 종성과 회령이었다. 1434년(세종 16년) 영북진의 위치를 보다 북쪽으로 전진배치하고, 본래 여진의 근거지였던 알목하 지역에는 회령진을 설치하였다가 곧 회령도호부로 승격시켰다. 다음해인 1435년(세종 17년)에는 영북진을 종성군으로 독립시키고 인근 지역을 소속시켰으며, 5년 후인 1440년(세종 22년)에는 군을 도호부로 승격시켰다. 

 
한편 태종대 설치되었으나 야인의 침입으로 위치를 남쪽의 경성군과 합병하여 방어를 포기하였던 경원부를 1434년(세종 16년) 다시 두만강 유역인 회질가 지역으로 전진배치하였다. 이후 1442년(세종 24년)에는 진에 절제사를 두고 1449년(세종 31년)에는 온성 북편의 땅을 내속시켰다.


한편 경원부를 회질가 지역으로 북진시키면서 옛 공주(孔州) 지역에서 방어의 공백이 발생하였다. 이에 1435년(세종 17년) 이 지역에 공성현(孔城縣)을 설치하였는데, 두 해 뒤인 1437년에 공성현의 명칭을 경흥군으로 개명하였고, 그로부터 6년 후인 1443년(세종 25년)에는 성을 새롭게 수축하는 동시에 명칭을 경흥도호부로 승격시켰따.


위와 같이 네 개의 고을이 두만강 유역으로 북진배치되면서 방어선을 확립하게 되었는데, 1440년(세종 22년)에는 종성과 경원 사이의 방어의 어려움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다온평 지역에 새로이 온성군을 설치하였다. 온성은 1441년 도호부로 승격되어 판관과 토관을 설치하였고, 1442년에는 진을 설치하여 온성도호부사가 진절제사를 겸하게 되었다.


위와 같이 종성, 회령, 경원, 경흥, 온성의 다섯 고을로 두만강 하류 지역의 방어선을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당시에는 이들 다섯 고을을 5진이라고 명칭하기도 하였다. 6진의 가장 마지막인 부령도호부는 1449년(세종 31년)에야 설치되었다. 즉 앞서 다섯 고을이 두만강 유역으로 전진배치되면서 해당 고을들이 원래 위치하던 배후지역에 공백이 생기게 된 것이다. 이에 세종 31년 원래 있었던 부거현을 혁파하고 인근 지역의 여러 고을을 옮겨 부쳐서 부령도호부를 만들기에 이르렀다.


위와 같이 국경 방어 체제의 일환으로 4군과 6진이 설치되었지만, 단순히 군현을 설치한 것으로 그친 것이 아니었다. 여기에는 부수적인 방어시설의 정비와 방어시설을 운용해 갈 인력의 문제가 남아있었다.

그리하여 세종대 4군 6진 개척과 함께 행성의 축조와 사민 입거가 동시에 진행되었다. 이 두 사업은 엄청난 인력과 물력, 행정력을 필요로 하는 거대한 사업이었다

 

'우리 역사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몽주  (0) 2018.10.02
조선시대 역사  (0) 2018.10.01
4군의 설치  (0) 2018.09.30
홍경래의 난과 정주성 전투  (0) 2018.09.30
삼강행실도  (0) 2018.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