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말하는 베트콩은 베트남이 공산화가 되면서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고요 지금은 조직자체가 없어졌다고 하겠습니다
베트콩은 은 남베트남과 그 연합군 쪽에서 베트남 전쟁 중 남베트남에 저항하는 무장 저항 세력을 부르는 말이다. "베트남 공산주의자"를 뜻하는 베트남어: Việt Nam Cộng Sản에서 왔다. 정식 명칭은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이다.
1954년부터 북위 17도선으로 남쪽의 베트남 공화국 북쪽의 베트남 민주공화국으로 갈라지고 나서 베트남 공화국은 제 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승리했던 베트민이 실시한 토지개혁을 다시 개편하였다. 이에 반발한 소작농과 거의 대부분의 농민들은 소작료 경감과 점진적인 토지개혁을 원했지만 베트남 공화국 정부는 이들을 탄압, 수감하였다.
이에 반발한 일부 세력과 그들을 기반으로 삼던 여러 정치적 좌익들이 남베트남 노동당을 결성, 정치권내로 진입하려 하지만 당국의 탄압으로 실패한다.
응오딘지엠 정부가 농민과 노동자를 착취하자 이에 반발한 남베트남 노동당과 베트남 공화국 내의 일부 민족주의 세력이 1954년에 힘을 합쳐 반군 단체를 만드는데, 이 농민-노동자 반군 단체는 단체 명을 1960년 12월 20일에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으로 공식화한다.
이들은 대회당에서 민족민주연합정부 수립, 진보적 민주주의의 실현, 소작료 경감과 점진적인 토지개혁,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경제 건설, 남북관계 정상화와 평화적 재통일, 평화적인 중립외교정책 수립 등 10개항의 정치강령을 채택하고 구엔 후 토를 의장으로 선출했다. 1967년 8월 열린 임시전국대회에서는 창립 강령을 구체화한 새로운 정치 강령을 채택했다.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이라고 흔히 부르는데 이는 북위 17도 아래의 남부 베트남에서 활동했기 때문이다.
1954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네바극동평화회의 이후 남하한 북베트남인 가운데 상당수가 합류했으며 비공산주의자들도 다수 참가했다. 북베트남은 1960년대부터 베트콩에 무기와 보급품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게릴라 활동을 도왔다.
베트콩은 주로 남베트남 해방민족전선의 군대인 인민해방군을 지칭하는 말로 쓰였으며, 공산주의의 영향 하에 있던 민간인들에게도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들의 설립목적 자체는, 공산주의의 표방이 아니며 단지, 자신의 나라를 지키기 위한 민족주의를 표방하는 것이었다.
월남전에서 베트남 민주공화국(월맹)의 지원을 받아 흔히 대한민국 내에서 자유월남이라 불렸던 베트남 공화국에 대항하여 승리한 후 남베트남 공화국 정권을 세움과 동시에 해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