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교실/지리

인간과 겨울문화

by 산골지기 2016. 1. 8.
728x90

동계 올림픽을 유치한 지역이나 국가들을 살펴보면, 알프스 산지에 인접한 유럽 국가들과 일본의 삿포로, 캐나다의 밴쿠버 등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동계 올림픽 성적---

오스트리아, 캐나다,

스웨덴, 스위스 등의 성적이 높다.

 

해마다 겨울이면 하얀 눈으로 뒤덮이는 태백산을 배경으로 지역 관광 산업과 연계해 강원도 태백시에서 개최하는 겨울철 관광 축제이다.

 

 1995년 제1회 눈 축제를 개최한 이후 매년 1월 말경에 약 9일 간에 걸쳐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다.

 

눈 축제 개막식을 시작으로 국제 눈 조각품 전시회, 눈사람 페스티벌, 개썰매 타기, 전통 민속공연, 겨울 놀이마당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일본의 삿포로는 ‘러브레터’와 ‘철도원’ 등의

영화에서 눈을 배경으로 우리에게도 널리 알려진

 홋카이도의 중심지이다.

 

일본에서 가장 추운 이 지역의 1, 2월 평균 기온은 -3.8℃이고, 3일에 한 번꼴로 눈이 내려 연중 평균 강설량이 496 cm에 이른다.

 이처럼 추운 날씨와 엄청난 강설량으로 삿포로에서는 매년 2월 초에 일주일 동안 눈 축제가 열린다.

눈싸움, 설상 전시회, 카니발 등이 행해졌는데 5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모여들어 폭발적 인기를 모았다. 그 후 이 행사는 시민들 사이에 삿포로의 겨울 축제로 정착하였다.


일본 기후 현의 시라카와고 마을에는 ‘갓쇼즈쿠리’라고 부르는 집이 있다. 지붕의 형태가 합장할 때 손의 형태와 유사하여 불린 이름이다. 산간 오지에 위치하여 겨울에 많은 눈이 내리기 때문에, 지붕을 가파르게 만들었다.

 

마치 그림 속에서 튀어나올 듯한 이 아름다운 산골 마을은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삿포로 눈 축제--- 1950년 이 지역의

고교생들이 6개의 설상을 한 공원에 설치한 것을 계기로 시작

 


 

설피는 겨울철 눈이 많이 쌓이는 강원도 산간 지역과 제주도, 함경도 등지에서 눈에 빠지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신발에 덧대어 신었던 넓적한 모양의 도구이다.

 

대체로 길이 30~35cm, 폭 20~25cm 크기로, 눈과의 접지 면적을 넓혀 눈 위에서 활동하기 쉽도록 만들었다.

 

설피를 신을 때에는 설피의 양쪽 끈을 발등에서 서로 교차시키어 바닥과 함께 몇 바퀴 두른 다음 발목에서 꽉 동여매어 신으면 된다.

728x90
반응형

'사회교실 >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최대의 고산습지  (0) 2016.03.15
온실가스 관리  (0) 2016.01.14
지리정보의 활용  (0) 2016.01.03
세계의 산지 분포  (0) 2016.01.03
식생분포  (0) 2016.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