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신분은 기본적으로 양인과 천인으로 나뉘었고, 양인은 다시 귀족과 중류층, 양민으로 구분되었다. 당시에는 신분에 따라 사회적 지위와 생활 모습이 달랐다.
귀족은 고려 지배층의 핵심을 이루었으며, 정치적·경제적으로 음서제와 공음전의 특권을 누렸다. 고려 전기의 문벌 귀족은 자기들끼리 혼인 관계를 맺거나 왕실과 혼인하여 권력을 키워 나갔다.
귀족 출신은 과거나 음서제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였으며, 고위직을 독점하여 정치권력을 장악하였다. 문벌 귀족은 자신들의 특권을 유지하고자 왕권을 제약하는 등 점차 보수화되다가 무신 정변을 계기로 약화되었다.
이후 무신 정권이 무너지면서 원 간섭기에는 권문세족이 귀족층으로 등장하였다. 권문세족은 고려 전기의 문벌 귀족 가문, 무신 정권에서 성장한 귀족 가문, 원 간섭기에 새롭게 진출한 가문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신분 구성도 문벌 귀족에서 하층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권문세족은 권력을 이용하여 농장을 확대하고 몰락한 농민을 끌어들여 노비처럼 부렸다.
중류층은 고려 때에 이르러 새롭게
등장한 신분 계층으로 지배층과
피지배층 사이에 자리 잡았다.
중류층에는 중앙 관청에서 말단 행정을 담당하였던 서리, 궁중 실무 관리인 남반, 지방 행정의 실무를 담당한 향리, 하급 장교,지방의 역을 관리하는 역리 등이 있었다.
향리는 지방 행정을 담당한 대표적인 중류층이었다. 이들은 최상위 직책인 호장 까지 승진할 수 있는 향리와 그렇지 못한 하위 향리로 구분되었다.
상층 향리는 지방의 실질적 지배층으로 자기들끼리 통혼하였으며, 과거 응시 자격에서도 특혜를 받았다.
이들은 과거 합격자를 다수 배출하여 일부는 문벌 귀족으로 성장하기도 하였다.
한편, 향·부곡·소 등 특수 지역의 최고위 향리는 과거에 급제해도 5품까지만 허락되어 일반 군현의 향리에 비해 차별을 받았다.
남반은 국왕이나 궁중의 일을 맡아보았고,
서리는 중앙 부서의 실무에
종사하였다.
이들은 부모 중 한쪽의 신분이 낮아 고위직 진출이 금지된 부류로, 잡업을 통하여 과거에 급제하면 대개 7품까지만 승진이 허락되었다. 하급 장교였던 군반이나 역의 행정을 담당하는 역리 등도 중류층을 이루었다.
이러한 중류층은 직역을 세습적으로 물려받았고, 그 대가로 국가로부터 토지를 지급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