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결사 운동
(1) 지눌 의 수선사 결사 운동: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 포용, ‘정
혜쌍수’와 ‘돈오점수’를 수행 방법으로 제시
(2) 혜심의 유불일치설: 유교와 불교는 근본에 있어서 하나임.
(3) 요세의 백련사 결사 운동: 진정으로 잘못을 뉘우치고 불경
을 외우면 극락왕생할 수 있다고 주장
도교와 풍수지리설
(1) 도교: 왕실의 번영과 불로장생 추구, 초례 거행
(2) 풍수지리설 : 서경 천도와 북진 정책 합리화, 남경 길지설
유학의 발달과 역사책의 편찬
1. 유학의 발달
(1) 성종 때 유교가 정치 이념으로 정착
(2) 유교 발달
① 최충의 9재 학당(문헌공도)을 비롯한 사학 12도 설립
② 국왕의 주재 아래 유교 경전에 대한 강론 개최
(3) 무신 집권기: 유학 침체
2. 성리학의 도입
(1) 도입: 원과 교류 과정에서 도입, 안향 에 의해 소개
(2) 성리학의 발전: 공민왕의 성균관 정비
(3) 신진 사대부 의 성리학 수용: 이색, 정도전, 정몽주 등이 불
교의 폐단 비판, 사회 개혁 추진의 이론으로 삼음.
3. 역사책의 편찬
(1) 고려 전기: 왕조 실록(태조~목종), “ 삼국사기 ” (김부식 -
유교적 합리주의 역사관)
(2) 무신 집권기: ‘동명왕편’ (이규보 - 고구려 계승 의식)
(3) 몽골의 침입과 원 간섭기: 자주적 민족의식 표현 → “삼국
유사”( 일연 ), “제왕운기”(이승휴)
문화 예술과 과학 기술의 발전
1.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도자 예술
(1) 청자: 귀족들의 취향 반영
(2) 상감 청자 (12세기): 나전 기법을 응용한 독창적 기술
2. 건축, 조각, 공예
(1) 불교 예술품: 대형, 다양성
불상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석탑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원 영향)
승탑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2) 공예: 나전 칠기, 은입사 기술
(3) 주심포 양식의 목조 건축: 안동 봉정사 극락전, 영주 부석
사 무량수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
3. 글씨, 그림, 음악
(1) 글씨: 탄연
(2) 그림: 불화, ‘천산대렵도’(공민왕)
(3) 음악: 향악(속악)
4. 천문과 역법: 날짜 계산, 일식·월식 예측, 천문 변화 관측
5. 인쇄 문화의 발달
(1) 목판 인쇄술: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2) 금속 활자: “상정고금예문”(1234), “ 직지심체요절 ”(1377, 현
존 최고의 금속 활자본)
6. 농업, 의학, 군사 기술: “농상집요” 소개, 목화 도입(문익
점), “향약구급방” 편찬, 화약 제조(최무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