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소

김제 귀신사

by 산골지기 2015. 9. 9.
728x90

676년(문무왕 16)에 의상이 창건하여 국신사라 하였으며,

최치원은 이곳에서 「법장화상전」을 편찬하였다.

고려시대 국사 원명이 중창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의 전화로 폐허가 된 것을 1873년(고종 10)에 춘봉이 중창한 뒤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탑의 선이 정밀하고 옥개석의

곡선이 거의 평행을 이루면서도

신라시대의 미를 그대로 나타내고 있는 빼어난 작품이다.

 

석수는 딴 곳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것으로, 앉아 있는 석수의 등 위 중간에 남근 같은 석주가 꽂혀 있고 도약 하려는 듯한 석수의 모습에는 당당한 위용이 엿보인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보물 제826호로

지정된 대적광전을 비롯하여

 명부전ㆍ산신각ㆍ요사채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귀신사삼층석탑과 귀신사부도, 귀신사석수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삼층석탑은 높이 4.5m의 화강암재 석탑으로, 귀신사의 창건과 함께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728x90
반응형

'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동강 호국 평화공원  (0) 2015.09.14
독일 뢰머 광장  (0) 2015.09.13
티옹바루  (0) 2015.09.09
함양읍내에는 학사루  (0) 2015.09.07
아헨 시청  (0) 2015.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