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데이/경제

세계화와 지역화

by 산골지기 2015. 4. 2.
728x90

어느 외국인 신부가 젖소를 기르고 치즈를 만들면서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읍 금성리에

 

서는 유제품 가공업이 발달하게 되었다. 치즈 생산에 성공한 금성리 주민들은 2000년대 초‘치즈 만들기’체험 프로그램을 열었으며 , 마을 이름도‘치즈 마을’로 바꾸었다. 주말이 되면 마을은 전국에서 관광객들로 북새통을 이룬다. 치즈 마을이 관광객을 끌어들일 있게 이유는 무엇일까?

 

 

치즈 마을이 가진 고유한 특성과 주변의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전략을 추진하였기 때문이다.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공간적 이동이 활발한 세계화 시대가 전개되면서 지역 경쟁은 어느 때보다 치열해졌다.

 

 

 

 특히 지역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지역 정체성 기반으로 지역화 전략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역화 전략의 핵심은 지역이

 

지닌 잠재력을 개발하고,

 

이를 세계의 보편적인 가치와

 

접목하여 발전시키는 있다.

 

 

 

 지역의 고유한 음식 문화가 세계 속에서 당당하게 경쟁하고 있는 사례로 이탈리아의 피자와 인도의 카레를 수 있다.

 

피자와 카레가 세계인의 음식이 것은, 성공적인 지역화 전략을 통해서 이들 음식이 세계인의 보편적인 입맛에 맞도록 발전되었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전통 음식인 비빔밥 광고가

 

 미국의 뉴욕 타임스 스퀘어 전광판에 등장하였다.

 

 

“뉴욕타임스”지에 비빔밥 전면 광고를 실은 이어 텔레비전 주요 매체에도 광고를 시작한 것이다.

 

한식은 영양학적으로 적절한 균형을 갖추었으며,대표적인 슬로 푸드로서 세계인이 즐길 있는 음식이다.

 

 

한식을 세계적인 음식으로 발전시키고, 그에 따른 부가 가치를 얻기 위해서는 나라의 음식문화를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다양한 음식과 문화를 접목하여 조화를 이룰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지역을 효율적으로 홍보하기 위해서는 지역 고유의 특성을 강조하면서 다른 지역과 차별화할 있는 지역 이미지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좋은 지역 이미지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전통 산업과 문화,예술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이탈리아의 피렌체는 시내의 예술 공방을 지원하여 세계 수준의 명품을 생산할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한 것은 물론, 공방이 몰려 있는 도심의 뒷골목을 관광 명소로 만들었다.

 

과거 경제 발전을 담당했던 공업 도시에서는 공장을 박물관,미술관 등으로 바꾸는 노력을 통해 긍정적인 지역 이미지를 창출하기도 한다. 독일의 에센, 영국의 맨체스터 등이 대표적이다.

 

 

지역에 특별한 지역 이미지가 없을 때는 새로운 지역 이미지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중국의 하이난 섬은‘동양의 하와이’라는 지역 이미지를 창출함으로써 많은 관광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부천도 기존의 공업 도시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부천 국제 만화 축제 등을 개최하여 문화 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728x90
반응형

'투데이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시대  (0) 2015.06.17
해운 한국  (0) 2015.06.17
소비문화와 윤리적 소비  (0) 2015.03.14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0) 2015.02.19
나진 하산 지역  (0) 201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