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동양사/인도사4 마우리아 왕조와 소승불교 마우리아 왕조 --- 아소카왕에 의해서 소승불교가 발달 정치적으로 통일을 이루지 못한 가운데 작은 왕국들로 분열되어 있었던 인도는 기원전 4세기경 찬드라굽타에 의하여 통일왕조를 수립하게 됩니다. 마우리아 왕조 찬드라굽타에 의하여 수립된 통일왕조 전성기--- 아소카왕 시기 찬드라 굽타는 분열되어 있던 인도를 통일하고 마우리아 왕조를 수립하였습니다. 찬드라 굽타가 세운 마우리아 왕조는 아소카 왕시기에 전성기를 맞았는데요 아소카왕은 인도의 남부 일부를 제외한 인도전역을 통일하여 마우리아 왕조의 전성기를 맞이하였습니다. 아소카 왕은 영토를 확장하는 정복군주였지만 불교를 바탕으로 나라를 다스리겠다고 선언하는 가운데 상좌부 불교를 발달 시키게 됩니다. 상좌부불교는 보통 소승불교라고 불립니다. 아소카 왕은 불교를 적.. 2021. 6. 28. 인도 종교 힌두교는 인도의 전통을 바탕으로하는 다신교이고요 불교는 인간의 평등을 강조하면서 개인적인 수행을 강조하는 종교입니다 자이나교도 인간의 평등을 주장하는 종교인데요 불교의 근본이 되는 종교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자이나교(Jaininsm)는 고대 인도에서 제사 중심의 베다 브라마니즘에 대한 반동이자 개혁으로 발생하여 지금까지 존속하고 있는 종교이자 철학이다.[1][2] 실질적으로는 불교의 교조인 고타마 붓다와 동시대인이었던 바르다마나(Vardhamana)의 가르침에서 연유하였다. 자이나교는 영혼의 해탈을 목표로 한다. 해탈은 윤회의 사슬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자이나교에 따르면, 해탈은 영혼이 완전지를 성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영혼의 본래 상태는 완전한 믿음, 완전한 지식, 완전한 능력, 완전한 기쁨이지만, .. 2017. 9. 1. 브라만교 브라만교는 인도의 전통사상을 바탕을 하여 이루어진 종교인데요 이후 힌두교의 ㅋ토대가 되면서 힌두교로 발전을 했다고 할수가 있겠습니다 브라만교는 《리그베다》·《야주르베다》·《사마베다》·《아타르바베다》의 4종의 베다의 종교적 가르침을 토대로 하여 우주의 근본적 최고 원리로서의 브라만(범 · 梵)에 대한 신앙을 중심 신앙으로 하여 전개된 종교로, 훗날 힌두교로 발전되었다. 그러나, 브라만교가 그 포괄 범위를 명확히 그을 수 있는 종교 체계는 아니어서, 흔히 브라만교라고 칭할 때는 명확히 규정할 수 있는 특정한 범위를 가진 한 종교 체계를 가리킨다기보다는, 인도의 전통적인 민족 생활과 사회 구조에 기반하는 전통적 철학 · 사상 · 신학 · 제사 의례 등의 종교 현상 전반을 총칭하는 경우가 많다 2017. 9. 1. 쿠샨왕조와 불교 아소카 왕이 죽은 뒤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하자 여러 외부 세력이 인도를 공격하였다. 그 중 쿠샨족이1세기 중엽에 인도 서북 지역을 통일하고, 쿠샨 왕조를 세웠다. 쿠샨 왕조는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에서 인도 서북부에 이르는 지역을 다 스렸다. 이곳은 중국에서 로마로 이어지는 교역로의 중간에 위치한 지역이 었다. 쿠샨 왕조는 교역로를 통해 주변 나라와 교역하면서 번영하였고, 다양 한 종류의 금화를 만들기도 하였다. 쿠샨 왕조는 카니슈카 왕 때 전성기를 누렸다. 그는 불교를 보호하는 한편, 다른 종교도 지원하였다. 또한, 왕궁에서 학자들이 자유롭게 학문을 연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쿠샨왕조 시기에는 카니슈카 왕 때 대승 불교가 발달시켰다 쿠샨 왕조 때 대승 불교가 나타났다. 대승 불교는 개인의 깨달음을 중시하.. 2016. 10. 11.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