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소카 왕이 죽은 뒤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하자 여러 외부 세력이 인도를
공격하였다. 그 중 쿠샨족이1세기 중엽에 인도 서북 지역을 통일하고, 쿠샨
왕조를 세웠다.
쿠샨 왕조는 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에서 인도 서북부에 이르는 지역을 다
스렸다. 이곳은 중국에서 로마로 이어지는 교역로의 중간에 위치한 지역이
었다. 쿠샨 왕조는 교역로를 통해 주변 나라와 교역하면서 번영하였고, 다양
한 종류의 금화를 만들기도 하였다.
쿠샨 왕조는 카니슈카 왕 때 전성기를 누렸다. 그는 불교를 보호하는 한편, 다른 종교도 지원하였다. 또한, 왕궁에서 학자들이 자유롭게 학문을 연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쿠샨왕조 시기에는 카니슈카 왕 때 대승 불교가 발달시켰다
쿠샨 왕조 때 대승 불교가 나타났다. 대승 불교는 개인의 깨달음을 중시하는
상좌부 불교와 달리 모든 사람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부처를 초월적인 존재로 여겨 예배의 대상으로 삼았다.
간다라 지역이 속한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지난 수십 년간 내전과 전쟁을 겪으면서 많은 문화유산이 파괴되었다.
탈레반 정부는 우상 숭배를 금지한다는
이유로 바미얀석불을 파괴하였다.
이 사건은 인류의 귀중한 문화유산이
정치적・종교적 갈등으로 파괴된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카니슈카 왕은 곳곳에 거대한 불교 사원과 탑을 세워 대승 불교의 발전을 이끌
었다. 또한, 승려를 중앙아시아와 티베트, 중국으로 보내어 대승 불교를 전파하였다. 그 결과 대승 불교는 아시아 여러 지역으로 퍼져 나갔다.
쿠샨왕조 시기에는 간다라 미술이 발달하였다
초기 불교도는 불상을 만들지 않고 탑이나 부처의 발자국, 보리수, 수레바퀴 등
으로 부처를 나타내었다.
쿠샨 왕조 시대 간다라 지역에서 새로운 미술 양식이 등장하였다. 간다라 지역
에는 알렉산드로스의 인도 침입 이후 전파된 헬레니즘 문화가 남아 있었다.
여기에 불교 문화가 결합하여 불상이 만들어졌다.
이렇게 헬레니즘 문화와 인도의 불교 문화가 결합되어 나타난
미술 양식을 간다라 미술이라고 한다.
'동양사 > 인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리아 왕조와 소승불교 (0) | 2021.06.28 |
---|---|
인도 종교 (0) | 2017.09.01 |
브라만교 (0) | 2017.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