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교는 인도의 전통을 바탕으로하는 다신교이고요 불교는 인간의 평등을 강조하면서 개인적인 수행을 강조하는 종교입니다 자이나교도 인간의 평등을 주장하는 종교인데요 불교의 근본이 되는 종교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자이나교(Jaininsm)는 고대 인도에서 제사 중심의 베다 브라마니즘에 대한 반동이자 개혁으로 발생하여 지금까지 존속하고 있는 종교이자 철학이다.[1][2] 실질적으로는 불교의 교조인 고타마 붓다와 동시대인이었던 바르다마나(Vardhamana)의 가르침에서 연유하였다.
자이나교는 영혼의 해탈을 목표로 한다. 해탈은 윤회의 사슬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자이나교에 따르면, 해탈은 영혼이 완전지를 성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영혼의 본래 상태는 완전한 믿음, 완전한 지식, 완전한 능력, 완전한 기쁨이지만, 해탈하지 못한 영혼은 무지와 격정을 원인으로 하여 형성된 카르마가 영혼과 결합되어 있어서 이러한 본래 상태가 가려져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해탈에 이르는 길은 새로운 카르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미 들어온 카르마를 제거하는 것에 있다. 카르마의 차단과 제거의 완성, 즉, 해탈의 성취는 무지와 격정이라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바른 믿음, 바른 지식, 바른 행동이라는 3가지 보물에 의해 이루어진다. 자이나교는 믿음의 완성과 지적 완성과 윤리적 완성이 불가분리한 관계에 있다고 본다.
해탈에 이르는 길에 있어서 특히 아힘사(ahimsa, 해치지 않음)라는 윤리적 실천(바른 행동)을 중시한다. 그리고 고행이 카르마를 빨리 제거하는 데 아주 효과적인 바른 행동이라고 본다.[3] 해탈을 성취한 영혼은 현생이 끝났을 때 세계의 가장 꼭대기로 올라가 영원한 안식과 평화를 누린다.
자이나교는 인간이 완전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신한다. 이것을 바르다마나와 같은 자이나교의 예언자('티르탕카라')가 실례로서 보였으며, 또한 그 길을 가르친 것이라고 믿는다. 모든 인간은 신의 은총이나 티르탕카라의 자비가 아니라 스스로 길을 걸어가 카르마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해탈에 도달한다고 본다. 이런 점에서 자이나교는 무신론적인 철저한 자력 신앙의 종교이다
'동양사 > 인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리아 왕조와 소승불교 (0) | 2021.06.28 |
---|---|
브라만교 (0) | 2017.09.01 |
쿠샨왕조와 불교 (0) | 2016.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