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朴正熙[1],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다. 본관은 고령.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선산군에서 태어나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하고 3년간 교사로 재직하다 만주로 가, 만주국 육군군관학교인 신징 군관학교에 입학하였다. 군관학교 시절의 이름은 다카기 마사오[2](일본어: 高木正雄 たかぎ まさお 타카기 마사오[*]), 오카모토 미노루[3](일본어: 岡本實 ) 등이 있다. 졸업 성적 석차 2등으로 신징 군관학교를 졸업한 후, 성적우수자 추천을 받아,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57기로 입학한 후 1944년 성적 석차 1등으로 졸업했다. 만주국 육군 제8단에서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할 때까지 일제가 수립한 만주국의 장교로 근무하였다. 일제가 패망하고 1946년 7월에 귀국하였다. 귀국 이후 대한민국 국군 장교로 지내며 남조선로동당에 입당하였다가 김창룡이 주도한 숙군에서 여수·순천 사건 연루 혐의로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정보국에 남조선로동당의 실체를 증언한 후, 육군본부 정보국장이었던 백선엽의 최종 면담에서 사형을 면하였다.[4][5] 한국 전쟁이 나자 대한민국 국군 장교로 참전하였다.[5][6]
5·16 군사 정변을 주도하였고,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을 지냈다. 1963년 12월부터 1979년 10월 26일까지 제5·6·7·8·9대 대통령으로 장기집권을 하였다. 3선 개헌 및 유신헌법 등의 장기집권을 반대하던 야당 및 학생운동 세력을 탄압하였다. 1979년 10월 무렵 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으로 부마항쟁이 일어났다. 1979년 10월 26일 궁정동에서 연회를 하던 도중 당시 중앙정보부장이었던 김재규가 쏜 총에 저격당함에 따라 서거했다.
박정희의 대통령 직무 수행에 대한 평가는 긍정과 부정의 양면으로 극명하게 나뉘고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전쟁과 가난으로 피폐해진 대한민국을 국가 주도의 경제개발을 통해 한강의 기적을 이뤘다는 평가, 새마을운동을 통해 농촌 발전에 성공했다는 긍정적 평가가 있다. 아울러 의료보험제도 도입과 그린벨트 규제, 조림 사업, 산림복원사업 등을 추진했다. 반대 측에서는 박정희 시대의 경제정책이 개발 위주의 획일화된 정책으로 보고 있다.[7][8][9]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존경하는 대통령을 비롯한 대통령 선호도와 공적 부문 등에서 최상위평가를 받아오고 있다.[10][11][12]
5.16 군사 정변, 10월 유신을 통한 헌정 파괴, 노동 운동 및 야당 탄압, 군사독재 등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13] 한일협정을 강행한 것과[14] 베트남 월남전 파병에 대한 평가가 양립하고 있다.[15][16] 핵 개발을 추진하기도 하였으며,[17] 행정수도 이전을 추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