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과 독일의 첫 만남
양국의 비공식적인 첫 접촉은 1866년 2월 충청남도 아산만 해미현 조금포(調琴浦)에서 이루어졌고 공식적인 첫 교섭은 1870년 5월 부산왜관에서 이루어졌다. 전자는 독일 상인 에른스트 오페르트가 통상을 요구했던 것으로 두 번 모두 거절되어 후년의 남연군 분묘 도굴 사건으로 귀결되었다. 후자는 일본관헌의 소개로 군함 헤르타호를 타고 부산왜관에 내방한 도쿄 주재 독일대리공사 폰 브란트(Von Brandt)에 의해 전개되었지만 통상수교 거부정책에 좌절되었다.
조선왕조, 독일과 통상 조약을 맺다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 성사되자 독일측은 이를 계기로 청의 도움을 받아 조선과의 외교관계를 수립코자 하였다. 결국 주청공사로 전근된 폰 브란트와 주톈진 독일영사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주요코하마 독일총영사 에드워드 잡페(Edward Zappe)의 노력 속에 1883년 11월 26일 조독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에따라 1883년 11월 28일 독일 총영사관이 서울에 개설되고 젬바하하(Zembsch)가 초대 주한독일총영사로 임명되었으며 미리 와있던 부들러 부영사와 청국 재상 이홍장에 의해 조선왕국 외무협변으로 임명된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등은 한반도 정계에서 활약하게 되었다. 대한민국은 2016년 현재 이로부터 수교 133주년을 앞두고 있다.
대한제국, 방한에 방독하다
1898년 7월 28일에는 독일 왕자 타인리히가 10일간의 일정으로 방한을 하였다. 이에 1901년 3월 민철훈 특명전권공사가 영국, 오스트리아를 방문하면서 방독을 겸하였다.[1] 한편, 1898년에는 독일인 프란즈 에카르트가 내한하여 최초로 양악을 보급하기도 했다. 그러나 양국의 교류는 경술국치(1910년)로 단절되고 말았다.
해방후 한국과 독일
일제 강점기 시절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나치 독일에 대해 선전 포고를 한 바 있다. 국권 회복 이후 대한민국은 독일 연방 공화국과 1955년 12월 1일 재수교하였다. 그 이전까지 서독은 한국 전쟁에 관여하지도 아니하였고 다만 유엔 회원으로서 안전보장이사회 긴급구호계획에 따라 47,619달러를 기부하고 뒤늦게 미국과 '한국에서의 독일 적십자병원에 의한 원조에 관한 협정(1954년 2월 12)’을 체결하여 부산에 야전병원을 설립하였을 뿐이었다.[2] 이에 한국은 1954년 10월 1일 한국은 독일 레마겐에 이한호[3]를 파견해 주독 총영사관을 개설하코자 하였으나 독일은 이를, 거부하고, 한국무역대표단(Koreanische Handelsvertretung)으로 승인(1955년 1월 22일)했다.
제1공화국, 서독과 국교를 수립하다
양국의 공식적 외교관계는 1955년 12월 1일 대한민국 정부와 서독 정부가 양국을 상호 승인함으로써 재개되었다.[4][5] 이에따라 독일은 1956년 봄 영사 인가증(領事認可證)을 발급하고 6월 5일에 주한독일 총영사를 임명하였다.[6] 이들은 그해 8월 쾰른으로 옮겨졌다.
그리고 그해 10월 한국 서울에 총영사관을 설치하였다.[8] 그 후 양국정부는 총영사관을 공사관으로 승격시켰다(1957년 3월 5일). 1957년 6월 5일, 주미 대사 양유찬은 친선사절로서 서독을 방문하여 콘라트 아데나워와 회담하고 조만간 국교를 수립하기로 합의하였다.[9]
마침내 1958년 8월 1일에 공사관을 대사관으로 승격시켰다.[10] 같은 날, 주독일 대사관이 본에 개설되었다. 한국은 초대 주서독 대사에 군인 출신으로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손원일(1958년 8월 22일 부임)을 임명하였다. 이에따라 한국 정부는 쾰른에 있는 총영사관을 폐쇄하고 서독의 본(Bonn)에 대한민국 공사관을 설치하였다(9월 25일).[11]
더불어 이 무렵 제1공화국 시절부터 가톨릭 교회의 중개에 의해 한국인들이 간호사로서 독일에 파견되기 시작하였다